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대중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변상문의 風流 여행기]창덕궁 달빛 기행

기사입력 : 2013년06월10일 08:29

최종수정 : 2013년06월10일 08:29

 

창덕궁에서는 매년 5월부터 10월까지 보름을 전후해 3일간 '창덕궁 달빛기행'이라는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이 행사에 참석할 수 있는 행운을 얻었다. 우리 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느껴야 제대로 그 맛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이 여행을 통해 알았다. 
 
애저녁 돈화문 동쪽에서 솟아 오른 보름달이 그랬다. 세수 대야만한 누우런 달이 흥인지문 위로 쑤욱 올랐을 때, 마치 내 심장이 내 머리 위로 튀어 나온 기분이었다. 돈화문 앞 국악거리엔 보름달이 쏟아낸 미세한 선율들이 떨리며 흩어졌다 간 다시 모이고, 모였다 간 또다시 흩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었다. 나는 반복되는 그 선율들을 붙잡고 보름달을 삼키며 소망을 빌었다.
 
돈화문(敦化門)을 지나 금천교를 건넜다. 다리 옆 수 백 년 묵은 회화나무 사이로 보름달이 또 한 번 고개를 내밀었다. 그 달은 내조로 장부의 기개를 북돋아 주는 음전한 미인의 얼굴이었다. 달을 향해 합장했다. 이 세상 모두가 헌헌장부와 음전한 미인의 맘같이 음양이 잘 조화돼 탕탕평평(蕩蕩平平)하기를 빌었다.
 
진선문(進善門) 지나 숙장문(肅章門)을 끼고 인정문(仁政門)에 들어서니 웅장한 인정전(仁政展)이 마치 방송에 출연하기 위해 옅게 화장한 임금님 모습으로 다가 왔다. 웅장보다는 편함으로, 권위보다는 친근감으로 오래된 역사이기보다는 현재의 문화로 내 가슴을 흔들었다.
 
인정전 월대에서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를 뒤로 하고 목멱산(木冪山, 남산의 또 다른 이름) 위로 솟아 있는 달을 바라보았다. 당상관(堂上官 : 임금과 같은 장소에서 대담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하는 데, 요즘의 고위 공무원으로 이해하면 무리가 없음)이 된 기분으로 도도하게 달을 향해 외쳤다. 

"일월오봉도를 취할 수는 없어도 일월오봉도 속의 두 그루 소나무는 취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묵내뢰(默內雷)로 쿵쾅대는 심장을 진정시키며 옛 승정원 터를 지나 낙선재로 들어섰다. 묵내뢰로 파락호 생활 끝에 천하 대권을 움켜쥔 흥선 대원군의 기개가 장락문(長樂門) 글씨체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었다. 흥선 대원군의 글씨를 달빛에 비춰 보았다. 조선 임금 스물일곱 분 중, 왕권을 왕권답게 행사한 태종, 세조, 숙종, 영조, 정조 등 다섯 분을 뛰어 넘는 기운이 서려 있었다.

낙선재 뒤뜰로 들어서니 헌종 임금님의 운우지정(雲雨之情) 사랑이 여리게 내 가슴을 흔들었다. 헌종대왕의 침소엔 그런 운우지정을 맑혀 주는 달 모양의 문(門)이 수줍게 닫혀 있었다. 방안에 매화향이 번졌다.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 위로 떠 있는 달은 춘향이 잇속 같이 깨끗하게 예뻤다.
 
정조대왕의 정치개혁의 산실이었던 규장각에 들어서니 몽유월원지도(夢遊月苑池圖)였다. 부용정(芙蓉亭), 주합루(宙合樓), 연못 주변 소나무와 굴참나무, 보름달이 못 속에서 대칭하며 칠보로 단장한 이상세계를 그렸다.

거문고 소리가 들려왔다. 술기운이 돌았다. 풍류(風流)와 화류(花流) 사이를 오가며, 퇴계 이황 성현도 뵙는가 하면, 장희빈의 오빠 장희재도 만났다. 부용지(芙蓉池) 위 하늘과 못 속에 떠 있는 보름달은 항아(姮娥)였다. 이태백처럼 그 항아를 구하기 위해 거문고 업고 못 속으로 뛰어드는 순간 해설사의 아니리가 내 뒤 꼭지를 잡았다. "6조 여러분! 빨리 연경당으로 가야 돼요. 이쪽으로 오세요. 우리 조가 조금 늦었어요." 젠장. 술이 확 깼다.
 
연경당 처마 끝에 걸린 보름달은 풍류객이었다. 대청마루가 무대요 마당이 객석이었다. 객석은 만석이었다. 만석인 극장은 일류 극장이다. 그런 면에서 연경당은 일류보다 한 단계 높은 초일류였다.

예술인들이 무대 위에 섰다. 가야금, 아쟁, 거문고, 대금, 호적 등이 여민락을 연주했다. 마음이 고요하게 가라앉으며 평온해 졌다. 춘앵무가 이어졌다. 꾀꼬리가 앵두나무 위에서 춤추듯 거실한 가을밤 공기를 갈랐다. 덩달아 달빛도 출렁였다. 망칠십의 박영호 명인의 대금 산조는 불필요한 것 없이 있을 것만 있는 단순함이 유려하게 흘렀다. 그리고 통했다. 김홍도가 60세 때 그린 금강산 구룡폭포 그림과 통했고,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그림과 통했다. 이어진 판소리 흥부전 화초장 대목과 신 아리랑 연주는 객석을 하나로 묶었다.

공연이 끝났다. 흐뭇한 달빛이 나에게 화초장을 메어 주었다. 금은보화가 가득한 화초장 메고 궁을 나오니 세상사 부러울 게 없었다. 참 행복한 달빛 여행이었다.

변상문 전통문화연구소장 (02-794-8838, sm2909@hanmail.ne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사진
서울대병원교수 집단 휴진...수술장 가동률 '62.7%→33.5%'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17일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산하 4개 병원(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들어간다. 의료계에 따르면 해당 병원 교수 중 절반이 넘는 529명(54.7%)이 무기한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은 33.5%만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부터 22일 사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에 나선 교수는 529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개 임상과 전체가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수술장 가동율은 현재 62.7%에서 33.5%로 감소할 전망이다. 비대위 및 병원 집행부는 지난 16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면담을 진행했으나 별다른 해결책은 나오지 않았다. 복지위 야당 간사인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비대위는 의정갈등 해결에 복지위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비대위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조치 취소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의대 정원 관련 의료계와 논의 진행 등 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대한의사협회도 같은 날 3개 요구안(▲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정부의 일방적인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사법 처리 위협 중단)을 정부에 제출하며 대화를 촉구했으나, 정부는 "의협이 불법적인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부에게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이를 거절했다. 이에 따라 오는 18일 전체 의료계의 전면 휴진을 비롯한 총궐기대회가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한편 서울대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소속 교수들도 오는 27일부터 응급·중증환자 진료를 제외한 무기한 휴진에 돌입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삼성서울병원 등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무기한 휴진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의대 교수들도 추가 휴진 여부를 논의 중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calebcao@newspim.com 2024-06-17 07:2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