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홍승훈 기자] 이팔성 회장(사진)이 현실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 내년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상반기 재추진 방침'을 밝히자 그 속내에 대해 설왕설래가 많다.
올해 강력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무산된 우리금융 민영화 추진작업이 내년 총선과 대선정국을 거치며 현실화될 가능성은 턱없이 낮은 게 사실이다. 업계에서 이 회장의 발언에 대해 또 다른 의도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그래서인지 금융당국과 업계, 주식시장에서도 무덤덤한 편이다.
이 회장은 최근 금융당국과의 특별한 사전 교감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당국에선 이 회장의 이번 발언에 대해 매각대상 회사 경영진으로서 할 수 있는 발언 정도로 의미를 축소시킨다.
23일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이 회장의 재추진 발언은 매각 결정권한을 갖고 있는 공자위(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 우리금융의 민영화 필요성을 다시한번 전하겠다는 수준일 것"이라며, "매각대상 회사의 경영진으로서 할 수 있는 얘기지만 크게 의미있는 발언으로는 보지 않고 있다"는 의견을 전해왔다.
증권가에서도 이 회장의 내년 상반기 매각 재추진에 대해 현실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게 중론이다.
증권사 한 애널리스트는 "지금까지 이 회장이 수차례 큰소리쳤지만 민영화를 성공시킬 능력도 권한도 사실상 없지 않냐"며 "내년 선거정국을 감안하면 다음 정권 들어서야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해석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도 "정부 역시 내년에는 책임있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을 것"이라며 "현재 주가 역시 워낙 크게 빠져 있고 내년 증시도 어려운 상황에서 공적자금 회수 이익 극대화 측면을 감안해도 매각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전해왔다.
우리금융 지분 57%를 보유중인 최대주주 예금보험공사도 내년 우리금융 매각 가능성을 낮게 봤다. 주가가 워낙 빠져 조건도 맞지 않고 선거정국이란 현실도 감안한 판단이다. 또한 메이크이븐(make even), 즉 공적자금 회수를 통해 수지를 맞추려면 우리금융 주식이 한주당 최소 1만 5800원은 돼야 한다는게 예보 계산법이다. 23일 우리금융 주가는 9650원으로 올 상반기 매각 추진 당시(1만 4000원 안팎)와도 크게 벌어져 있다.
하지만 22일 이 회장의 발언에는 상당한 자신감이 묻어있었다. 이 회장은 '내년 상반기내 가시적인 결과가 나올 것 같냐'는 기자의 거듭된 질문에도 "그럴 것이다. 상반기내 가시적인 결과가 나오고 내년 안에 민영화 작업이 마무리될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이 회장은 또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에 대해서도 "내년 3월께 증자를 생각중"이라고 언급했다. 23일 한국거래소 조회공시에 대해 우리금융지주의 증자계획은 없다며 "사실무근" 입장을 내놨지만 이 또한 우리금융 민영화와는 엇박자 행보가 될 수 있다. 지금보다 덩치를 더 키울 경우 우리금융이 M&A의 중심에 서며 은행 빅뱅의 주체는 될 수 있지만 매각작업 자체는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모두가 내년 매각 현실 가능성을 낮게 보는 상황에서 이 회장의 이같은 자신감을 두고 일각에선 '내부 조직 추스리기' 차원으로 해석한다. 소위 'MB맨'으로 알려진 이 회장이 정권말기로 접어들며 나타날 수 있는 레임덕을 미리 차단하기 위한 포석이란 얘기다.
이미 올해 행장의 권한을 줄이고 지주회사 회장의 권한을 키우는 매트릭스 조직 도입을 두고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간 갈등설도 불거지기도 했다. 지주에선 적극 도입을, 은행에선 반대하며 잠정 유보됐는데, 우리금융 매각작업을 재추진하면서 이 회장의 리더십을 재강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이번 발언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은행담당 애널리스트들은 이 회장의 우리금융 민영화 재추진 발언에 대해 '공수표 남발'이란 지적과 함께 일시적이나마 시장 왜곡 우려도 있다고 비판했다.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홍승훈 기자 (deerbea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