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삼성 LG 등과 공동OS 컨소시엄 구축
[뉴스핌=유주영 기자] 지식경제부가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차세대 모바일 운용체계(OS)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경부 김재홍 성장동력실장은 22일 기자들과 만나 "구글과 모토로라 합병 이후 삼성도 위기감을 많이 느끼고 있다"며 "하반기에 공동 OS 컨소시엄을 구성해 삼성과 LG 등과 함께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안드로이드처럼 오픈형으로 우리나라 독자적 OS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IT 수출이 작년에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며 요새 하강곡선은 IT 제품이 경쟁력이 없어서 그런게 아니라 일본 지진으로 침체, 유럽 금융위기 등 전체적으로 수요가 감소한 것"이라며 IT 성장력을 자신했다. 이어 "정보통신부 부활해야 한다는 주장은 사실은 왜곡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이다.
△구글과 모토로라 합병이후 3차 혁명이야기가 나오는데 정부의 대책이 있나.
= 과거에도 대책이 만들어졌고 지금도 진행 중. 새로운 대책을 새롭게 만들 필요는 없다. 소프트웨어는 하루아침에 달라지는 게 아니다. 생태계가 변하려면 기업도 변해야 하고. 정부는 기반이 되도록 생태계를 만드는 역할. 관련 제도를 고치고 이를 진행 중이다.
△ 삼성의 반응은 어떤지.
= 삼성 이야기 들어보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구글이 오픈형이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폐쇄형으로 바꿀 수 없다. 삼성과 LG의 하드웨어 점유율이 세계 2위이기 때문에 이 관계가 계속 같이 갈 것으로 본다. 다만 장기적으로 볼때 구글이 스마트산업에 뛰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삼성 바다 OS가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 생태계가 형성되지 않아서 잘 안된다. 구글 안드로이드나 애플의 IOS는 전 세계 몇 십억이 이용. 우리 바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극소수다. 그만한 생태계를 형성하지 않으면 힘이 없다.
삼성의 바다 OS가 폐쇄형인데 이걸 오픈형으로 바꿀지 삼성 내부에서 고민이 많다. 그전에는 정부에서 간담회하자면 삼성은 오지 않았는데 요새는 삼성이 먼저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삼성이 공동 OS 개발에 대해서 엄청 부정적 시각이었는데 구글-모토로라 이후 시각이 많이 바뀌었다.
△ 우리나라 독자적 OS 개발 하반기에 추진한다는데.
= 삼성 바다 OS는 폐쇄형. 결국은 할려면 개방형으로 가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구글 안드로인드만을 의존해서는 안된다.
정부는 하반기 공동 OS 컨소시업 사업을 추진하려고 한다. 하반기 계획에 들어가 있다. 삼성 OS 바다를 쓰면 다른데 업체들이 안하기 때문에 정부는 오픈형 공동 OS 개발 컨소시엄 구성할 예정이다. 삼성과 LG 등이 모바일 OS를 비롯한 웹기반 오픈형 OS를 공통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이번에 WSB(월드베스트소프트웨어) 3차 프로젝트에 들어갈 예정이다.
△ 지금 개발 하면 늦지 않냐?
= 모바일 OS만을 보는게 아니라 구글 크롬 처럼 웹기반 OS 까지 내다봐야 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구글만 믿고 갈 수 없다. 이같은 오픈형 공공 OS 개발은 과거 전문가들한테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이에 대한 부정적 여론도 있는 걸로 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유주영 기자 (bo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