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상 변호사 (주식회사 그레이스 CFO, 이사)
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는 늘 바쁘다. 회의, 메시지, 일정이 하루를 가득 채운다. 그러나 하루가 끝날 무렵, 문득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나는 오늘 무엇을 이루었는가?"
바쁘게 산다고 해서 '의미 있게' 사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세상이 정한 속도에 휩쓸린 채, 자신이 삶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잊곤 한다.
![]() |
| [서울=뉴스핌] 황칠상 변호사 [사진 = 본인] |
진정한 변화와 성장은 '결심'에서 시작된다. 결심은 단순한 마음의 동요가 아니라 "이제는 흘러가는 대로 살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그것은 방향 없이 흔들리던 삶에서 벗어나, 스스로 삶의 키를 잡는 순간이다. 결심이 없는 인생은 바람에 이리저리 흩날리는 낙엽과도 같다.
역사를 돌아보면, 위대한 변화는 한 사람의 결심에서 출발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결심으로 인권의 물결을 일으켰고, 넬슨 만델라는 27년의 옥중에서도 "용서는 복수보다 강하다"는 신념을 지키며 남아공의 미래를 바꾸었다.
한국 사회에서도 결심이 역사를 움직였다. 1970년대 초 정주영 회장은 조선업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 조선소를 짓겠다는 파격적인 결심을 했다.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말했지만, 그는 500원짜리 지폐 속 거북선 그림을 근거로 "우리 조상들은 이미 400년 전에 철갑선을 만들었다"고 설득했다. 그의 결심은 결국 울산 조선소를 현실로 만들었고, 대한민국이 세계 1위 조선 강국으로 도약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도 결심하는 자에게는 가능성으로 바뀐다.
그러나 결심은 결코 쉽지 않다. 좋은 결심일수록 더 큰 저항이 따른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회복력(resilience)이다. 심리학자 앤젤라 더크워스(Angela Duckworth)는 '그릿(Grit)'에서 "끝까지 버티는 끈기가 재능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학 문제 하나를 끝까지 풀어내려는 아이가 결국 인생의 더 큰 도전도 이겨낸다는 연구는, 결심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훈련된 의지임을 보여준다.
영성가 브레넌 매닝(Brennan Manning)은 "실패의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만이 진정한 신실함을 깨닫는다"고 했다. 실패를 인정하고 다시 일어서려는 사람만이 결심을 통해 더 단단해진다. 결심은 넘어지지 않는 데서가 아니라,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데서 완성된다.
결심은 또한 선포되어야 한다. 가장 강력한 결심은 공개된 결심이다. 결심은 작은 비전이며, 비전이 세상에 공유될 때 책임과 동력을 만든다. 마하트마 간디가 "비폭력으로 독립을 이루겠다"는 결심을 인도 국민 앞에 선포했을 때, 그 말은 수천만 명의 결의를 불러일으켰다. 결심이 세상과의 약속이 될 때, 그것은 단순한 다짐이 아니라 역사로 남는다.
우리의 일상도 다르지 않다. 하루 10분의 운동을 결심하는 것, 한 달에 한 권의 책을 읽겠다는 결심, 팀의 회의 문화를 개선하겠다는 결심 등 작은 결심들은 삶과 조직을 바꾸는 출발점이 된다. 큰 변화는 언제나 작은 결심에서 자란다.
물론 결심에는 희생이 뒤따른다. 익숙한 안락함을 내려놓고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이건희 회장은 "처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결심으로 안주 대신 변화를 택했고, 그 결단은 삼성의 세계화를 이끌었다. 리더의 희생 없는 결심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 이는 조직의 변화에서도, 개인의 성장에서도 동일하다.
시인 안도현은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뜨거운 사랑을 해본 적이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는 사랑의 언어이면서도, 뜨거운 결심으로 세상을 견디는 법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식지 않는 의지와 결심만이 차가운 현실을 이겨낸다.
바쁜 일상 속에서 우리는 중요한 것을 놓치곤 한다. 일정을 소화하느라, 요구에 대응하느라, 정작 내가 원하는 방향을 잃어버린다. 그러나 삶은 결심하는 자에게만 새로운 길을 허락한다.
결심은 단순한 마음가짐이 아니다. 그것은 삶을 바꾸는 능력이며, 의지의 근육이다. 오늘 우리는 어떤 결심을 하겠는가? 그 결심이 내일의 나와 우리 조직, 나아가 이 사회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답은 각자의 몫이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하다. 결심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황칠상 변호사(주식회사 그레이스 CFO, 이사)
삼일회계법인
법무법인 세아
대신증권 FICC구조화, 전략지원실
키웨스트글로벌자산운용 PDF운용본부 (Private Debt Fund)
신한투자증권 투자상품부, 상품관리부
현재: 주식회사 그레이스 CF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