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개 방류로 해양 자원 고갈 대응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 패류양식연구센터는 통영 산양읍 풍화리 이끼섬과 월명도 인근 해역에 산란장 조성을 위해 어린 개조개 10만 마리를 방류했다고 26일 밝혔다.
![]() |
| 어린 개조개 [사진=경남도] 2025.11.26 |
개조개는 연 2회 산란하며 전국 생산량의 약 60% 이상이 경남에서 나온다. 최근 자원 남획과 해양 환경 악화로 생산량이 감소해 인공종자 대량생산과 자원 방류 확대 요구가 이어졌다.
이번에 방류한 어린 개조개는 2024년 10월과 2025년 5월에 확보한 어미를 통해 생산됐으며 방류기준(0.6cm 이상)보다 큰 1.0cm 이상 건강 검증을 마친 개체다. 통영 산양읍 해역은 환경 조사 결과 개조개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지로 선정됐다.
어업인들도 방류된 치패가 산란어미가 될 때까지 포획 금지 등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방류 작업에는 지역 어촌계와 잠수기 자율관리공동체 회원 20여 명이 참여해 잠수사가 직접 해저에 치패를 살포했다.
패류양식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산란 유도기법 개발과 생존율 향상 연구를 통해 개조개 대량생산 기술을 확립했으며 2023년부터 진해만 일대에 어린 조개 77만 마리를 방류하는 등 자원 조성에 힘쓰고 있다.
이소광 패류양식연구센터장은 "연구 성과를 어업인과 지속 공유하며 기술 보급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