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상원에서 메타(NASDAQ: META)가 자사 플랫폼 페이스북·인스타그램에서 사기 광고와 불법 상품 광고로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는 보도를 계기로 연방 당국에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조시 헐리(공화·미주리) 상원의원과 리처드 블루멘솔(민주·코네티컷) 상원의원은 이날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로이터 보도가 사실이라면 즉각 조사를 개시하고, 강력한 강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면서 필요한 경우 메타에 부당 이익 환수와 벌금 부과, 관련 광고 게재 중단에 동의하도록 강제해야 한다고 썼다.
![]() |
| 인스타그램 앱. [사진=로이터 뉴스핌] |
로이터는 이달 초 입수한 2024년 말 내부 문건을 인용해 메타가 지난해 전체 연간 매출의 약 10%에 해당하는 160억 달러를 불법 광고에서 벌어들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 문건에서는 메타가 '고위험' 사기 광고만으로 6개월 마다 35억 달러의 매출을 올린다고 적시했고, 사기성 광고에 대한 내부 규정이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직원들의 문제 제기도 담겼다.
이에 대해 메타는 로이터 보도 직후 "지난 18개월 동안 사용자들의 사기 신고가 58% 감소했다"고 반박했다. 메타 대변인 앤디 스톤은 상원의원 서한과 관련해 "과장되고 잘못된 주장들이 담겼다"며 "우리는 사기와 스캠에 대해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우리 플랫폼 이용자, 정직한 광고주, 그리고 우리 모두 이런 콘텐츠를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냈다.
그러나 두 의원은 메타의 대응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서한을 슬 당시 메타 '광고 라이브러리'를 잠깐만 살펴봐도 불법 도박, 결제 사기, 암호화폐 사기, 인공지능(AI) 딥페이크를 활용한 음란 광고, 허위 정부 지원금 광고 등 명백한 불법 광고가 다수 확인된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또 로이터 보도를 인용해 "미국 내 전체 사기의 3분의 1이 메타 플랫폼을 통해 이뤄진다"는 메타 자체 추정치와 FTC가 발표한 전년 소비자 사기 피해 규모(1,583억 달러)를 결합하면, "메타 플랫폼이 500억 달러 이상의 소비자 피해에 관여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메타가 안전 담당 인력을 대폭 축소하는 동시에 '생성형 AI' 분야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두 의원은 미국 정부 기관이나 정치인을 사칭하는 광고의 확산을 심각한 문제로 지적했다. 서한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식품보조금 수급자에게 1,000달러를 지급한다"는 허위 광고 사례가 언급됐으며, "정치인을 모방한 딥페이크 광고가 반복적으로 경고를 받았음에도 여전히 플랫폼에 등장하고 있다"고 적었다. 이 같은 사기 광고의 배후에는 주로 중국·스리랑카·베트남·필리핀 기반의 사이버범죄 조직이 있다고도 지적했다.
wonjc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