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거래 위험 조기 탐지 시스템
계약 안전 진단 및 등기부 변동 감시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13일 'AI 기반 거래 안전망 솔루션 구축 사업'의 총사업비 14억 원 확보를 밝혔다. 이 사업은 내년 하반기부터 도민들에게 위험 요소를 경고하는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 |
| 경기도가 13일 'AI 기반 거래 안전망 솔루션 구축 사업'의 총사업비 14억 원 확보를 밝혔다. [사진=경기도] |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한 공모에서 최종 선정되었으며, 국비 12억 원과 도비 2억 원이 포함된다. 경기도는 11월 중 NIA와 협약을 체결한 뒤, 공동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부동산 거래 전 과정을 인공지능으로 실시간 감지해, 위험 요소를 조기에 탐지·대응하는 사전 예방형이다. 임차인은 집 주소만 입력하면 계약 안전도를 진단받고, 임대인 정보는 동의하에 분석·제공된다.
계약 후에는 실시간으로 등기부 변동 사항을 감시해 권리 침해나 허위 소유권 이전에 대해 즉시 통보하여 피해를 차단할 수 있다. 경기도는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와 함께 시스템의 실효성 및 지속 가능성을 높일 방침이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현재 수도권과 경기도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짐에 따라, 이번 사업은 임차인의 안전을 위한 실질적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