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업무 자동화, 업무시간 최대 67% 단축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인공지능(AI)과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함께 활용한 '지능형 행정자동화' 체계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RPA는 2021년부터 도입돼 행정 효율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업무에 적용돼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총 13건의 행정업무를 자동화하고, 업무시간을 최대 67% 단축했다.
RPA는 사람이 수행하던 반복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대신 처리하는 기술로, 시에 도입한 이후 매달 2000시간 이상의 행정 작업이 자동으로 처리됐다. 올해부터는 하이퍼클로바X,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을 RPA에 접목해 문서 요약과 데이터 정리 등 비정형 업무도 자동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
| 2025년 서울시 RPA 절감효과 [자료=서울시] |
예를 들어 '청소년 가출 게시글 대응 시스템'은 청소년정책과의 사이버 상담 지원체계에 적용됐으며, RPA는 관련 게시글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AI는 상황을 분석해 맞춤형 상담 문안을 생성한다. 이는 24시간 게시글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고, 청소년 보호기관의 초기 대응 속도도 크게 향상됐다.
또 '공공데이터 학습자료 자동수집 시스템'은 행정 내부 문서를 AI 학습용 데이터로 가공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RPA는 정보소통광장 등 공공데이터 사이트에 정기적으로 접속해 문서와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기록함으로써, 담당자들이 월 200시간 이상의 업무를 줄일 수 있도록 했다.
시는 RPA 설명회를 통해 ▲공공데이터 학습자료 자동수집 ▲연말정산·보험료 정산 자동화 ▲전기 관련 행정처분 현황 관리 ▲소득자료 분류·원천징수 관리와 같은 5건의 신규 과제를 발굴했다고 덧붙였다. 이 과제들은 기존 1130시간을 소요하던 업무를 538시간으로 줄여, 인력 3명분을 대신할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연말정산 자동화'는 현장 근로자의 급여와 보험 데이터를 정산하는 과정에 RPA를 적용한 것으로, 수작업 입력을 자동화해 행정 오류를 감소시키고 처리 속도를 크게 개선했다. 이 시스템은 다른 부서에서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강옥현 디지털도시국장은 "AI와 로봇이 반복업무를 대신하고, 공무원은 기획과 분석 등 창의적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행정자동화는 단순히 인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행정을 위한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라고 전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