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지식재산 경진대회
"기업 일원이라 생각하고 임했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재학생 3명이 '2025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CPU)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수상자는 메카트로닉스공학부 3학년 김현수,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4학년 이가은, 전기·전자·통신공학부 3학년이다.
CPU는 국내 최대 규모 대학(원)생 지식재산 경진대회다. 올해 79개 대학, 1456개 팀에서 3200여명이 참여했다.
수상자들은 SK하이닉스에서 출제한 '적층형(3D) DRAM(다이내믹 램) 특허 분석 및 R&D(연구개발) 전략 제시' 과제에 도전했다.
기존 평면(2D) DRAM의 한계를 극복하고 메모리 집적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인 3D DRAM을 대상으로 특허 분석을 통해 핵심 기술과 기업 맞춤형 R&D 전략을 제안했다.
주요 수행 내용은 ▲기술 분류 및 장단점 분석 ▲정량 분석 기반 핵심 특허 선정 ▲기술 흐름도 작성 ▲기술 개발 트렌드 예측 등이었다.
![]() |
| 2025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학생들과 지도교수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재윤 학생, 진경복 교수, 김현수 학생, 이가은 학생. [사진=한기대] 2025.11.12 sheep@newspim.com |
해당 과제는 이번 대회의 30개 과제 중 가장 높은 지원 경쟁률을 기록했다. 메모리 반도체 선도기업 SK하이닉스가 출제했다는 점에서 산업적·기술적 가치도 높았다.
한기대는 학생들이 단순한 특허 확보 전략이 아닌, 기업의 관점에서 구체적 R&D 방향을 제시해 큰 차별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메카트로닉스·신소재·전자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협업을 통해 구조·공정 기술을 다각도로 분석, 실무형 문제해결력과 팀워크를 강화한 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심사위원들은 "해당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특허의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전문가 수준으로 도출해 냈다. 발표 자료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해 특허전략의 중요성을 기술 분석을 통해 학습된 성과로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이가은 학생은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수천 건의 자료를 분석하며, 실제 공정으로의 적용 가능성과 기업 입장에서 경제적 가치, 향후 발전 가능성 등 저희가 SK하이닉스의 일원이라고 생각하며 대회에 임했다"며 "세 명의 팀원이 각 전공 분야별 강점을 파악하고 3D DRAM의 공정·소재·구조 등 다각적 관점에서 문제를 탐구하는 과정이 큰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말했다.
지난 2023년에 이어 대통령상 수상팀을 두 번 배출한 진경복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교수는 지도교수상을 받았다. 진 교수는 "내년 초 정년퇴임을 앞두고 교수 생활의 마지막 지도였다"며 "학생들이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받아 교수로서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게 해 감격스럽다"고 전했다.
shee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