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민 익숙한 용어 쓴다"… '핵추진잠수함' 또는 '핵잠' 사용
'핵잠'으로 선회한 정부…"국민 인식 고려" vs "원자력이 더 익숙"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정부가 원자력추진잠수함(SSN)의 공식 명칭을 '핵추진잠수함' 줄여서 '핵잠'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국민에게 익숙한 용어를 쓰겠다는 취지지만, 원자력 발전이 일상화된 한국 실정에서 '원자력'이 더 친숙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통령실과 국가안보실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원자력추진잠수함' 대신 '핵잠수함(핵잠)'을 공식 용어로 채택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민에게 이해하기 쉬운 표현을 쓰기로 의견이 모였다"며 "'핵추진잠수함'과 '핵잠'으로 명칭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 |
| 미 버지니아급 핵 추진 공격잠수함(SSN) 일리노이 함. [사진=미 해군] 2025.11.11 gomsi@newspim.com |
이 결정은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이후 논의가 가속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져 북한·중국의 잠수함 추적에 한계가 있다"며 '핵잠' 연료 확보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날 트루스소셜에 "한국이 기존의 디젤 잠수함 대신 원자력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직접 밝혔다.
이후 정부는 '핵잠'이라는 표현이 핵무기를 탑재했다는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으로 용어를 바꾸었으나, 이번에 다시 '핵잠'으로 되돌렸다. 다만 국방부는 잠수함의 추진체계가 원자력일 뿐 핵무기 운용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지난 5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핵잠 도입 방침은 유지하되 평화적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핵잠이라 하면 핵무기나 핵폭탄을 연상시킬 수 있어 국제사회에서 불필요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SSN은 'Submarine(SS)'에 'Nuclear powered(N)'를 합친 약칭으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하는 전략핵잠수함(SSBN)과는 구분된다. 원자력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지만, 핵폭발 장치는 탑재하지 않아 핵확산금지조약(NPT) 위반 요소는 없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한국은 SSN 개발 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적극 수용한다는 방침도 분명히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번 명칭 변경을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정부는 '핵잠'이 일반 국민에게 더 직관적이라고 하지만, 원자력발전소 24기가 가동 중인 한국에서 '원자력'이 이미 생활 속 용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1978년 고리 1호기 가동을 시작으로 현재 전체 전력의 약 30%를 원자력이 생산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정부가 택한 '핵잠' 용어가 오히려 불필요한 거부감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