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태안 마도4호선은 2015년 수중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조운선으로, 역사 속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세곡 운반선의 실체를 드러낸 귀중한 수중유산이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마도4호선 인양 전 상태. [사진=국가유산청] 2025.11.10 alice09@newspim.com |
'나주광흥창'이라 새겨진 목간 60여 점을 비롯해 공납용 분청사기 150여 점 중 '내섬'이라는 글씨가 확인되어 이 배가 전라도 나주에서 거둬들인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중 난파되었음을 보여준다. 선박 안에서 발굴된 분청사기는 15세기 전반에 제작되었으며, 선박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1410~1433년)를 토대로 1420년경에 침몰한 조선 전기 세곡선으로 밝혀졌다.
2015년 발굴한 후 보호를 위해 다시 바닷속에 매몰해 두었던 선체를 발굴 10주년을 맞은 올해 침몰 600여 년 만에 인양하여 의미를 더한다. 특히 지금까지 통일신라(1척)와 고려(17척)의 고선박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는데, 이번 인양으로 조선시대 선박의 실물 자료를 처음으로 확보한 의미도 있다.
마도4호선을 통해 새롭게 확인된 조선 전기 선박의 특징으로는, 고려 선박이 중앙에 돛대 한 개만 세웠던 것과 달리, 마도4호선은 앞부분과 중앙에 각각 돛대를 설치한 쌍돛대 구조로, 이를 통해 항해 속도를 높이고, 바람 방향에 따른 조정이 용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마도해역 음파탐사 중 발견한 청자다. [사진=국가유상청] 2025.11.10 alice09@newspim.com |
고려 선박이 목재를 세로로 배열해 앞판(선수부)을 조립한 반면, 마도4호선은 가로로 배열해 내구성을 높였으며, 큰 나무못과 보조못을 함께 사용한 고려 선박과 달리, 마도4호선은 작은 나무못을 다수 사용하여 선체를 정밀하게 연결한 차이점도 있다.
또한 선체 수리에 쇠못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기존 확인된 선박들이 나무못을 사용했던 것과는 다르게 우리나라 고선박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사례이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마도4호선 인양을 진행하는 동시에, 음파탐사로 마도 해역 일대를 조사하던 중 또 다른 고선박의 흔적을 확인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청자 세부 이미지. [사진=국가유산청] 2025.11.10 alice09@newspim.com |
이후, 잠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자 다발 2묶음 87점(1150~1175년경 제작, 접시 65점, 완 15점, 잔 7점), 목제 닻과 밧줄, 볍씨 등과 함께 고선박의 선체 조각과 화물받침목(통나무)을 발견하였다. 유물 구성과 양상은 마도 1·2호선과 유사하여, 곡물과 도자기를 운반하던 선박이 추가로 침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alice0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