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무공해차 980만 보급 목표 수소차 판매 부진으로 위기
올해 9월까지 4886대 판매, 누적 판매량 14만대 조금 넘어
충전소 전국 231곳 불과…3300대가 9곳 이용하는 서울
정부도 구매 꺼리는 모양새…경찰 수소 버스 전환 중단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정부가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수송 부문 목표로 무공해차 840만대~980만대 이상 보급 계획을 발표했지만, 핵심 축인 수소차 보급이 지지부진하면서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무공해차는 운행 과정에서 대기오염 물질이나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로, 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가 대표적인 예시다. 전기차는 빠르게 느는 반면, 수소차는 충전 인프라 부족과 낮은 판매 실적에 발목이 잡혀 있다는 평가다. 정부도 수소차 도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역설적으로 목표 달성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수소차 외면한 소비자…서울 충전소 단 '9곳'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수소차는 4886대에 그쳤다. 같은 무공해차인 전기차의 올해 8월 기준 판매량이 14만2456대임을 감안하면, 수소차의 보급 속도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수소차 보급이 본격화된 2018년부터 올해까지 8년간 누적 판매량을 합쳐도 4만2998대에 불과해, 전기차와의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난다.
![]() |
| 2018년~2025년 9월까지의 수소연료전지차 국내 판매 통계 [그림=Claude] 2025.11.07 lahbj11@newspim.com |
정부가 제시한 무공해차 최소 보급 목표인 840만대 달성도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 8월까지 전기차 누적 판매량이 약 82만대에 이르렀지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750만대가 넘는 무공해차 추가 공급이 필요해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
수소차가 외면받는 가장 큰 이유는 충전소의 부재다. 한국석유관리원 수소유통정보시스템에 따르면 7일 기준으로 수소충전소는 전국에 231개소가 분포해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9기 ▲경기 43기 ▲강원 15기 ▲충북 22기 ▲충남 13기 ▲경북 14기 ▲경남 23기 ▲전북 17기 ▲전남 11기 등 평균적으로 적은 숫자를 보인다.
서울은 약 3300대의 수소차가 있지만, 9기의 충전소만 있어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660개소로 충전 인프라를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으나,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높다.
◆ 경찰버스 802대 바꾼다고 했지만…6년 동안 16대 교체
정부조차 수소차 구매를 주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경찰청은 2019년 현대자동차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10년간 경찰 버스 802대를 수소 버스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속도가 더디다.
지난달 29일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까지 실제 구매된 차량이 16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수소경제와 무공해차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우면서도, 정부 스스로도 구매를 꺼리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 |
| 2019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수소충전소 착공식을 마친 뒤 참석자들이 수소연료를 사용하는 버스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박 의원에 따르면 올해 신규 예산이 전액 삭감돼 경찰 수소 버스 전환 사업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수소 버스는 대당 약 7억원으로 일반 버스의 2~3배 수준이며, 연료비도 전기버스보다 높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정부가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고 실현 가능한 보급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취지다.
이와 관련해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과 교수는 "수소차는 충전시간, 승차감, 연비 등 전기차와 비교했을 때 우수한 면을 지니고 있다. 특히 배터리가 전기차보다 월등히 가벼워 버스 같은 장거리 운행 수단으로 적합하다"며 "또한 한국이 관련 기술 99%를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관련 산업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는 만큼 수소차는 정부가 반드시 밀어야 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수소차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프라 개선과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단순히 충전소를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셀프 충전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24시간 운영하는 충전소를 늘려야 한다"며 "정부도 정권에 따라 흔들리지 말고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공공기관이 선도적으로 구매해 시장을 견인하는 등 정부의 주도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lahbj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