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장관, 조직개편 후 첫 에너지위원회 주재
최종 후보 7곳 충남·경북·울산 3곳 보류…재심의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정부가 전남(전역), 제주(전역), 부산(강서), 경기(의왕)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했다.
최종 후보 7곳에 포함됐던 충남(서산), 경북(포항), 울산(남구) 3곳은 제외되면서 '고배'를 마셨다.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5일 김성환 장관 주재로 그랜드하얏트(서울 용산구 소재)에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했다.
◆ 김성환 장관, 기후부 신설 이후 첫 에너지회의 주재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되는 이번 에너지위원회에서는 새롭게 임기를 시작하는 제8기 민간위원을 위촉하는 한편,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지정(안), ▲제7차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에너지위원회 위원장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맡으며, 당연직 위원(기재부, 과기부, 외교부, 산업부, 국토부 차관), 민간 위촉위원 19명(2년 임기, 연임 가능) 이내로 구성된다.
이날 회의에는 전남(전역)과 제주(전역)를 비롯해 경기(의왕), 경북(포항), 부산(강서), 제주(전역), 전남(전역), 울산(미포 산단), 충남(서산) 등 총 7곳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그림 참고).
![]() |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5.05.21 dream@newspim.com |
이번 에너지위원회에서 분산특구 총 4곳이 최종 선정됐다. 분산특구는 원거리 송전망을 이용하는 대신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곳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지산지소형 시스템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근거하고 있다.
분산특구는 전기사업법상 '발전·판매 겸업 금지'의 예외로 분산에너지 발전 사업자와 전기사용자간 전력 직접거래가 허용되며, 규제특례가 적용되어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하고, 전력 신산업의 본보기(모델)를 활성화할 수 있다.
◆ 제주·전남, 풍부한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 강점
제주는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와 실시간 시장 같은 혁신적 제도가 갖춰진 곳으로 분산에너지 시스템 실험의 최적지로 평가됐다.
이번 분산특구 지정으로 ▲피투에이치(P2H, Power to Heat: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히트펌프를 이용해 열에너지로 변환),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 사업자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통합해 전력시장 참여 및 수익모델 발굴), ▲브이투지(V2G, Vehicle to Grid: 전기차 배터리를 ESS처럼 활용하고 전력시장 참여) 사업 등이 추진된다.
![]() |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후에너지환경부] 2025.11.05 dream@newspim.com |
전남은 태양광 보급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지만 계통 부족으로 출력제어가 빈번한 곳이다. 태양광 발전소가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여 지역내 생산-소비를 실현하고, 인공지능(AI) 기술로 전력 생산-소비를 최적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산업단지, 대학교 등에 다양하게 실증한다.
재생에너지의 99.6%(호수 기준)가 위치한 배전망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보급하여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최소화하면서 배전망 운영을 효율화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 부산(강서)·경기(의왕), 규제특례 적용으로 전력 신산업 활성화
부산·경기는 전력 공급 대비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수요 관리의 최적화가 필요한 곳이다.
우선 부산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대규모로 설치하고 다양한 수용가(산업단지, 항만, 데이터센터)에서 활용하여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사업 유형(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한다.
경기도는 공원 안에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충전소를 연결하는 마이크로그리드를 활용해 저장된 전기를 전기차에 충전하고 수익을 올리는 사업을 실증할 계획이다.
이번 에너지위원회에서 보류된 울산, 충남, 경북은 추가 논의를 거쳐 차기 위원회에서 조속히 재심의할 예정이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오늘 논의한 분산특구 및 에너지이용 합리화 계획이 에너지 시스템을 전환·혁신하고 나아가 탈탄소 녹색문명으로의 대전환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오늘 논의를 바탕으로 정책과 계획이 잘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앞줄 왼쪽 네번째)과 에너지위원들이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 회의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기후에너지환경부] 2025.11.05 dream@newspim.com 2025.11.05 dream@newspim.com |
drea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