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병목, 메모리·인프라·설루션으로 고객과 함께 해결"
"AI는 혼자 못한다…협력으로 효율 극대화"
'SK AI 서밋'에서 기조연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 시대의 '다음(Next)'을 향한 SK의 과제를 제시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방향으로 ▲차세대 AI 반도체를 뒷받침할 메모리반도체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AI 활용을 꼽았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AI의 확산 속도가 과거 어떤 기술보다 빠르다"며 "SK는 고객과 함께 가장 효율적인 AI 설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행사는 'AI Now & Next'를 주제로 열렸으며 반도체, 에너지설루션, 데이터센터, 에이전트 서비스 등 SK그룹의 AI 경쟁력을 공개했다.
![]()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03 yooksa@newspim.com |
그는 지난주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회의(APEC CEO 서밋)을 언급하며 "AI가 산업과 경제, 개인의 삶을 모두 바꾸고 있다"며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AI 산업의 화두로는 '폭발적 수요에 대비한 인프라 투자 확대'를 들었다. 세계 데이터센터 투자가 6000억달러에 이르지만 오픈AI와 메타의 신규 투자 계획은 이를 웃돈다고 설명했다.
AI 수요 증가의 원인으로는 ▲추론 기능의 본격화 ▲기업 간 거래(B2B) 확대 ▲에이전트의 등장 ▲국가 간 소버린 AI 경쟁을 제시했다. "기업들이 AI를 사업에 적용하지 않으면 도태된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B2B AI 시장은 비용보다 속도를 우선시하는 경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가 제시한 대응 전략은 '효율 경쟁'이다. 최 회장은 "AI는 스케일(scale) 경쟁에서 효율 경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비용을 줄이고 격차를 해소하는 효율적 AI 설루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언급한 'AI 수요와 공급의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SK는 메모리반도체, 인프라, AI 활용을 중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GPU 등 AI 칩 성능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메모리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공급 병목의 시대에 SK는 책임 있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오픈AI가 초대형 AI 인프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용으로 월 90만 장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을 요청한 사례를 언급하며, 안정적인 수급 의지를 밝혔다.
![]()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영상메시지를 듣고 있다. 2025.11.03 yooksa@newspim.com |
최 회장은 청주 M15X,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등 SK하이닉스의 생산기반을 소개하며 "용인단지는 팹 한 곳이 청주 M15X 여섯 곳 규모"라며 "4개 팹이 완성되면 청주 M15X 24개를 짓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HBM 증산뿐 아니라 고용량 낸드 기반 제품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AI 인프라 분야에서도 "SK는 반도체부터 전력, 에너지 설루션까지 직접 제공하며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 구조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구로 '해인(海印)' 컴퓨팅 클러스터,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 중인 울산 데이터센터, 오픈AI와 추진 중인 서남권 데이터센터를 효율적 AI 인프라 구축 사례로 제시했다.
그는 "AI의 문제를 푸는 것은 AI 자체"라며 "메모리 생산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센터 운영 자동화와 가상화에도 AI를 적극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와의 'AI 팩토리' 협력 구상도 언급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GPU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가상 공장을 구축하고 있으며, 완전 자율형 생산공정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SK텔레콤의 '에이닷 비즈'처럼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AI 도구를 개발해 내부와 외부 고객 모두가 생산성 향상에 활용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AI는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며 "SK의 AI 전략은 파트너와 공동으로 설루션을 설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03 yooksa@newspim.com |
이날 기조연설에서는 아마존 앤디 제시 CEO와 오픈AI 샘 올트먼 CEO의 영상 메시지도 공개됐다. 제시 CEO는 "AI 인프라 개선의 핵심은 반도체 성능이며, SK는 아마존의 주요 파트너"라고 전했고, 올트먼 CEO는 "지능형 AI 비서의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SK 같은 파트너십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서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AI 인프라 역량을, 곽노정 SK하이닉스 CEO는 AI 컴퓨팅 설루션 기업으로의 전환 방향을 발표했다. 엔비디아 팀 코스타 총괄은 '차세대 반도체 설계와 제조를 위한 AI 슈퍼컴퓨팅'을 주제로 제조 AI의 비전을 공유했다.
올해 SK AI 서밋은 전시 참가 범위를 스타트업, 학계, 해외 기업까지 넓혀 규모와 다양성을 키웠다. AWS, 엔비디아, 슈나이더일렉트릭 등 글로벌 기업이 AI 데이터센터와 AI 팩토리 기술을 직접 선보였다. 부대행사로는 엔트로픽·콕스웨이브가 공동 주관한 '클로드 코드 빌더 해커톤'과 장애 청소년을 위한 '행복AI코딩챌린지'가 열렸다.
SK그룹 관계자는 "SK AI 서밋이 국내 최대 AI 행사로 자리 잡았다"며 "신뢰 기반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 인프라, 모델 등 한국형 AI 생태계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