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현대차·네이버 등 총출동
피지컬 AI·HBM·GPU 협력 확대 논의
                        
                        [경주·서울=뉴스핌] 박성준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오후 경주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접견하고 한국의 인공지능(AI) 인프라와 생태계 전반을 혁신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동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 등 국내 주요 기업 총수가 동석했다.
이번 만남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계기로 성사된 것으로 정부와 글로벌 AI 선도 기업이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협력 구상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엔비디아가 블랙록·오픈AI 등과 함께 AI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생태계 구축에 동참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면담 전 악수하고 있다. [사진=APEC 2025 KOREA] | 
이날 논의의 핵심은 ▲피지컬 AI(제조·로봇·자율주행 등 현실 기반 AI) ▲GPU·HBM(고대역폭 메모리) 공급 협력 ▲AI 인재 및 스타트업 지원 등 분야였다.
엔비디아의 최신 GPU 26만 장 이상을 도입해 공공·민간 AI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하드웨어 구축과 운용 기술 협력도 병행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과기정통부·엔비디아와 '피지컬 AI 기술개발 및 인재양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고 네이버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차량(SDV)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삼성전자와 SK는 엔비디아 GPU를 활용해 반도체 공정 디지털트윈을 구축하고 HBM 공급 확대 등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  | 
| 이재명(왼쪽 네번째) 대통령이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세번째)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면담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APEC 2025 KOREA] | 
엔비디아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차세대 슈퍼컴퓨터 '한강'에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환경을 도입하기로 했다. 또 삼성전자와 통신 3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세대 등은 AI 기반 지능형 기지국(AI-RAN)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한다면, 한국은 그 속도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parksj@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