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까지 7개 배수지 추가, 총 3만 톤 저장 목표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오는 11월3일 수유1동 등 강북구 고지대에 '미아 배수지'를 착공한다고 30일 밝혔다. 이 배수지는 2027년 7월 완공을 목표로 하며, 2040년까지 서울 전역에 걸쳐 총 7개 배수지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미아 배수지는 5000톤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서울시 103개 배수지 가운데 50번째 규모로 분류된다. 단수 발생 시 최대 12시간의 비상급수 기능을 갖춘 이 시설은 강북구 수유동 일대의 급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
| 미아 배수지 건설공사 [조감도=서울시] |
현재, 서울시는 103개의 배수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고지대·정수장과의 거리가 먼 지역에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 미아 배수지는 해발 140m 지점에 건설돼 고도 차를 활용한 간접급수 방식으로 펌프 없이 수돗물 공급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약 2만5000세대는 정전 등으로 인한 단수 상황에서도 수압 저하 문제 없이 수돗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월계배수지와 북악터널배수지를 통해 직결급수 방식으로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으나, 이 방법은 고지대에 물을 공급할 때 전력이 많이 소모되며, 전력 공급 중단 시 단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배수지 신설 사업은 서울시의 '2040 서울수도기본계획'에 따라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 체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시는 지난 10월 착공한 까치산 배수지를 시작으로 미아 배수지를 포함해 2040년까지 서울 고지대에 총 7곳의 배수지를 신설할 예정이다. 이들 배수지는 까치산(동작), 미아(강북), 신림3(관악), 매봉재(서초), 반포소(서초), 효자(종로), 북악(성북)으로 나눠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모든 배수지가 완료되면 총 3만 톤의 저수 용량이 확보되며, 이는 17만 세대가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미아 배수지는 강북 고지대의 수돗물 공급 안정성을 높이고, 단수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공급을 위한 핵심 시설"이라며 "서울시는 단계적으로 배수지를 확충해 시민들이 수압 걱정 없이 깨끗한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