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 AI 기반 '토탈 로보틱스 플랫폼' 구축 추진
모바일 휴머노이드 및 자율이송로봇 개발 박차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첨단 로봇자동화 전문기업 유일로보틱스는 차세대 로보틱스 기술의 핵심인 피지컬 인공지능(AI) 연구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해 '피지컬 AI R&D 센터'를 공식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
피지컬 AI R&D 센터는 유일로보틱스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모바일 휴머노이드, 사족보행로봇 등 차세대 로봇 라인업의 중심 허브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실제 환경 데이터를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모델링한다. 이를 기반으로 로봇이 물리적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학습하며 판단해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지컬 AI 기술을 집중 연구한다. 궁극적으로는 로봇 개발부터 생산, 설치, 운영, 관리 전 단계를 디지털 트윈과 피지컬 AI 기반으로 통합한 '토탈 로보틱스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 |
| 김동헌 유일로보틱스 대표이사(오른쪽에서 세 번째), 노경식 연구소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및 피지컬 AI R&D 센터 연구원들이 개발 중인 모바일 휴머노이드 및 AMR 로봇을 선보이며 오픈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유일로보틱스] |
유일로보틱스는 이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로봇 설치 효율성과 적응성을 극대화하고 가동률을 높이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해 고객에게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축적된 운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과 제품 신뢰성을 지속해서 높여 구독형 유지관리 및 데이터 기반 솔루션 비즈니스 모델로 확장해 안정적 수익구조와 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유일로보틱스는 올해 초 R&D 센터를 강화하기 위해 삼성전자 로봇개발부서 출신 전문가를 영입하고 AI와 로보틱스 분야 석·박사급 전문 인력을 추가 채용했다. 새 연구팀은 AI 제어 소프트웨어(SW),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센서 융합 기술, 자율 모션 생성 등 차세대 로봇지능 개발의 전 영역을 담당하며 기존 산업용 로봇 제어기술을 기반으로 AI 기반의 유연한 휴머노이드 및 모바일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자체 개발 중인 클라우드 로보틱스 인프라와 연동해 고객사는 로봇 설치부터 유지보수까지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실제 현장 환경 데이터를 반영한 '지능형 로봇 운영 시스템'을 제공받게 된다.
유일로보틱스 관계자는 "급속히 성장하는 피지컬 AI 시장에서 산업용 정밀제어 기술과 환경 적응형 지능 융합을 통해 로봇이 실제 작업 현장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차세대 휴머노이드 및 모바일 휴머노이드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2026년 상반기 양산형 모델 공개, 2027년 자율 적응형 지능 로봇 상용화, 2030년 글로벌 피지컬 AI 로봇 선도기업 도약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김동헌 유일로보틱스 대표이사는 "이번 피지컬 AI R&D 센터는 유일로보틱스가 단순 산업용 로봇을 넘어 스스로 사고하고 움직이는 휴머노이드 및 모바일 휴머노이드를 구현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과 학습 데이터를 활용해 실제 현장에서 즉시 설치·운용 가능한 로봇 생태계를 만들고 글로벌 피지컬 AI 로보틱스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shl2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