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추에이터 내재화' 로 기술 독립성 확보 및 원가 절감
하반기 수주 확대 기대..."대기업과 협력 논의 중"
'250kg급 고하중 로봇' 개발 막바지..."사내 테스트 진행"
무차입 경영 유지…현금성 자산 약 220억원 전망
이 기사는 9월 24일 오전 09시1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로봇 자동화 전문기업 '유일로보틱스'가 액추에이터(actuator) 내재화와 차세대 로봇 개발을 기반으로 성장동력 확보에 나선다. 기존 공장 매각을 통한 현금 확보로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SK온과의 전략적 연계, 대기업 고객사와의 협력 논의까지 이어지면서 외형 성장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유일로보틱스는 직교로봇, 다관절로봇, 협동로봇 등 기존 제품군의 고도화 작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중장기 로드맵을 확정하고 개발에 착수했다. 올해는 액추에이터 내재화를 본격화하며, 로봇의 핵심 구동 부품을 외부 의존도가 아닌 자체 설계·제작을 통해 내재화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유일로보틱스는 관계자는 23일 "주요 부품인 액추에이터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설계가 진행 중"이라며 "연내 시제품 단계까지 진입해 원가 절감과 기술 독립성을 동시에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품 내재화를 통한 원가 절감으로 수익성을 확보에 나서는 동시에 수주 확대를 위한 대기업 협력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일로보틱스 관계자는 "현재 대기업과 협의 중인 부분들이 있다"며 "연내 의미 있는 성과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
유일로보틱스 로고. [사진=유일로보틱스] |
유일로보틱스는 올해 신제품 개발에서도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국책 과제로 추진 중인 250kg급 고하중 원격제어 다관절 로봇 개발 막바지 단계에 진입했다. 유일로보틱스 관계자는 "현재 개발이 최종 단계로 들어와, 사내 테스트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존 150kg급까지 개발된 다관절 대형 로봇 시장을 넘어서는 제품으로, 자동차·배터리 등 대형 제조라인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기술 개발과 더불어 재무적 안정성도 확보했다. 올해 초 청라 신공장으로 이전하면서 인천 남동공단 1·2공장 가운데 2공장은 현재 매각 절차를 밟고 있다. 최소 70억원 이상의 현금 유입이 예상돼, 현금성 자산은 기존 150억원에서 약 22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유일로보틱스 관계자는 "남동공단 2공장은 은행 담보가 전혀 없어 매각 대금이 전액 운영자금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1공장은 임대로 전환해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금 유입과 함께 회사의 재무구조는 이미 안정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약 150억원이며 은행 차입금은 없는 무차입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유일로보틱스는 상장 이후 세 차례 자금 조달을 통해 약 900억원을 확보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2022년 기업공개(IPO)로 260억원, 2023년 5월 전환사채(CB) 발행으로 330억원, 2024년 6월에는 SK온 100% 자회사 SK 배터리 아메리카(Battery America)가 참여한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370억원을 조달했다.
총 900억원 자금은 청라 신공장 건설·부지 매입, 연구개발, 고급 인력 채용 등 성장 기반 마련에 투입됐다. 올해 4월 완공된 청라 신공장은 약 8000평 규모 부지를 260억원에 매입하고, 250억원을 들여 신사옥과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이외에도 연구개발비와 전문가 영입 등에 자금이 사용됐다. 신공장은 연간 약 2300억원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회사는 중장기 수주 계획에 따라 남은 부지에 추가 생산라인을 건설할 계획이다.
![]() |
유일로보틱스 청라 본사 사옥 전경. [사진=유일로보틱스] |
올해 실적 역시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유일로보틱스는 지난해 매출 352억원, 영업이익 4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 172억원, 영업손실 37억원을 기록했다. 유일로보틱스 관계자는 "올해 2분기에는 판관비 증가와 공장 이전에 따른 생산이 조금 지연된 부분도 있다"며 "일시적 영업이익 감소로, 연매출은 전녀대비 증가세 및 흑자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한편, SK와의 전략적 협력은 유일로보틱스의 핵심 성장 모멘텀으로 꼽힌다. SK 배터리 아메리카는 지난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13%대 지분을 확보하며 2대주주에 올라섰다. 올해 4월 김동헌 유일로보틱스 대표와 주주 간 계약을 체결하면서 SK온이 지분 23%에 대한 콜옵션을 확보했으며, 콜옵션 행사 될 경우 SK 배터리 아메리카는 지분 40%를 확보하며 1대 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콜옵션 행사 기간은 계약 체결일로부터 최대 5년간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