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 집계 결과
9월 전세계 수주량 123척...지난해 9월 대비 44%↓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한국 조선사들의 지난 9월 선박 수주량은 33척으로 전 세계 수주량의 39%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서 집계한 2025년 9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350만CGT(123척)이다. 지난 8월 360만CGT 대비 3% 감소했고, 지난해 9월 629만CGT와 비교해서는 44% 감소했다.
![]() |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제공=삼성중공업] |
CGT(환산톤수)는 '실질적인 작업량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선종/선형별 공사량, 건조능력 산출, 수주, 건조, 수주잔량, 통계작성 등에 이용한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135만CGT(33척, 39%), 중국은 142만CGT(69척, 40%)를 수주했다. 다만 척당 환산톤수는 한국 4.1만CGT/척, 중국 2.1만CGT/척으로 한국이 2배 많다.
올해 1~9월 전세계 누계 수주는 3264만CGT(1185척)로 전년 동기 6143만CGT(2560척) 대비 47% 감소했다.
이중 한국은 734만CGT(169척, 22%), 중국은 1833만CGT(725척, 56%)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비해 각각 17%, 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7만CGT 증가한 1억6599만CGT이며, 한국 3381만CGT(20%), 중국이 1만86만CGT(61%)를 차지했다.
전월 대비 각각 한국은 44만CGT 감소, 중국은 31만CGT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한국은 421만CGT 감소, 중국은 988만CGT가 증가한 수치다.
지난 9월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8월(186.26)보다 0.68p 떨어진 185.58로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5년 전인 2020년 9월(126.61)보다 47% 상승한 수치다.
선종별 선가는 LNG운반선 2억50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 1억26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22~24k TEU)은 2억7000만 달러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