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제이스코홀딩스는 22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설명회를 열고 니켈 등 핵심 광물자원개발(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현황과 기존 철강사업 성장세 기반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개했다.
한상민 제이스코홀딩스 대표는 이날 "최근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산업 핵심 원자재인 니켈을 대규모로 비축하는 등 자원 통제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니켈 원광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한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이스코홀딩스는 필리핀 니켈 원광 사업 추진 3년만에 실질적인 성과를 달성함으로써 글로벌 전략광물 시장에서 선도주자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사업 추진 3년만에 필리핀 니켈 원광 첫 수출을 앞두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 최초로 해외자원개발 성공사례로 기록될 것"이라며 "기존 철강사업 기반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니켈 원광개발 사업의 성과가 더해지며 수익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고 본격 성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제이스코홀딩스는 ▲디나가트(Dinagat) 지역 B,C,D 광산 구역에 대한 니켈 원광 독점판매권 확보 ▲니켈 원광 채굴 및 수출 인프라 구축 ▲중국 국유기업 바오리에너지와 최소 800만톤 공급계약 ▲홍콩 퍼시픽인피티니스리소스(PIRL)와 MOU(양해각서) 등 핵심 광물자원개발 사업을 계획대로 이끌어왔다.
![]() |
기업설명회에서 사업 설명을 진행하고 있는 한상민 제이스코홀딩스 대표이사. [사진=제이스코홀딩스 |
법적ž행정적 마지막 절차인 '광산개발 타당성 보고서(DMPF)' 승인을 획득하면 내달 9일 첫 선적이 진행될 전망이다. 향후 연간 약 630~850만톤 규모 니켈 원광을 채굴할 계획이며, 필리핀 내 니켈 제련소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다. '선광→정광→제련→정련' 등 제련 기술을 기반으로 니켈 중간재를 생산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제이스코홀딩스는 니켈 원광 사업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도 갖췄다. 필리핀 현지 파트너사 EVMDC(EV마이닝&디벨롭먼트)와의 독점 판매계약에 따라 총 매출액의 5%를 수수료 형식으로 확보하며, 이를 전액 영업이익으로 인식하다. 더불어 EVMDC 지분 10% 이상 보유에 따른 배당 및 지분법 이익을 추가할 경우 약 4% 수준의 추가 수익 확보가 가능하다. 총판 마진과 투자 수익을 합산하면 연간 약 8~10% 총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한 대표는 "중국은 전세계 약 70% 수준의 니켈 공급망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니켈 자원 통제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향후 글로벌 수급 및 가격 결정의 헤게모니 역할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니켈 광산을 확보한 제이스코홀딩스가 전략광물 시장 내 실질적인 가격 결정자 및 수혜 주체로 부상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기존 철강사업 부문도 구조적 기회를 맞고 있다. 최근 연강선재 업계 경쟁사의 경영부진으로 공급시장 공백이 발생함에 따라 제이스코홀딩스의 시장 점유율이 강화되고 있다. 신규 수요처로부터 추가 수주가 확대되고 있으며, 생산량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 효과는 물론 가격 협상력이 크게 향상돼 수익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대표는 "기존 철강사업 부문은 생산량이 전년대비 113% 증가한 12만톤을 목표하고 있다"며 "수익성이 높은 선별적 제품군 중심 영업활동을 전개하며, 시장 공백을 기회삼아 거래처 확대 및 단가 회복, 고정비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을 개선할 예정"이라고 중장기 목표를 설명했다.
이어 "이차전지 소재 사업부문은 니켈 원광 채굴부터 판매, 지분투자 수익까지 수직계열화된 고수익 모델로, 단기적 수익은 물론 중장기적인 수익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첨단산업에 핵심 원자재인 니켈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플레이어로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