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경기 광명·서울 금천·인천 부평' 등보다 확대돼
8월 5일 KT가 공개한 피해발생 시점 후 추가 범행 계속
'KT, ARS 신호 탈취 방식에 국한된 파악' 한계 지적 따라
황정아 "KT 고의적 피해 축소 시도…전수조사 필요"
[서울=뉴스핌] 김영은 기자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당초 알려진 곳 외에 서울 서초구·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파악됐다.
피해가 당초 경찰 수사 범위인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 ▲인천 부평 일대보다 넓게 일어난 것이 확인되면서 KT의 소액결제 이용자 전수 조사와 수사 확대 필요성이 커졌다.
![]() |
20일 KT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인증 시간 기준 피해 지역 자료에 따르면 피해 지역에 서울 동작구, 서초구, 고양시 일산동구가 포함돼 있다. 사진은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지난 19일 국회 과방위 대규모 해킹 피해 현장조사에 참석한 모습. [사진=류기찬 기자] |
20일 KT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인증 시간 기준 피해 지역 자료에 따르면 알려진 곳 외에도 서울 동작구, 서초구, 고양시 일산동구가 포함돼 있다.
KT는 처음 피해가 발생한 시점을 지난달 5일로 파악했는데, 이때부터 8일까지 서울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일대에서 15명이 26차례에 걸쳐 962만원 피해를 봤다.
범행을 저지른 이들은 8일과 11일 이틀에 걸쳐 서울 서초구에서 3명을 상대로 모두 6차례에 걸쳐 227만원의 소액결제 피해를 입혔다.
또 ▲12일∼13일 경기 광명시 ▲15일 서울 금천구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21일 경기 과천시에서 범행을 이어갔다.
이후 나흘간 휴지기를 가진 뒤, 26일부터 기존에 알려진 대로 금천구, 광명시, 경기 부천시 소사구, 인천 부평구 등에서 다시 활동했다.
황 의원은 "범행 지역과 시기에 대한 구체적 정보 등을 KT가 보다 빨리 공개했다면 수사에 도움이 됐을 사실들도 많은데 이제야 찔끔찔끔 주요 정보를 내놓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처음 알려진 지난 9월 4일과 5일에도 100건에 가까운 무단 결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KT의 비정상적인 결제 시도 차단 직전까지 무단 소액결제가 상당 규모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최초로 알려진 4일 이용자 36명에게서 83건 피해(2499만원)가 있었고 5일 11명이 14건(550만원)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
앞서 KT는 4일과 5일에는 피해 건수가 없었다고 국회에 보고한 바 있다. 이후 1차 발표에서 피해자 수를 278명으로 집계했다가 4일과 5일 피해를 포함해 362명이라고 정정했다.
KT는 "5일 새벽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이후 무단 소액결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피해 건수는 1차 집계 당시 527건에서 764건으로 늘었다.
KT 피해 현황이 초기 발표에서 점점 확대되는 것은 당초 자의적으로 자동응답전화(ARS)에 국한해 피해를 파악하고 소극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KT는 해킹범이 피해자들의 휴대전화로 갔어야 할 ARS 신호를 탈취해 소액결제에 성공한 사례에만 주목해 피해 현황을 ARS 수신 상황만 따져 집계하고 있다.
하지만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이 사건을 최초로 제보한 경기 광명시의 A씨는 자신이 진행하지 않은 패스(PASS) 인증을 제3자가 한 기록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또 카카오톡 무단 로그인을 겪은 피해자들도 있었다.
이는 해킹범이 ARS 신호 탈취 외에 다른 범행 수법도 썼을 가능성까지 KT가 고려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황 의원은 "KT 해킹 사태의 전모가 밝혀지면 밝혀질수록 KT가 거짓 변명만 늘어놓았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고의적 축소 은폐 시도를 반복한 KT에 대해서는 SKT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함께 피해 배상 강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yek10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