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 용인특례시가 지역 유관 기관과 '공유 모빌리티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최근 급증하는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 관련 안전사고를 미리 막고 시민 불편을 해소하려는 취지다.
14일 시에 따르면 협의체에는 용인시, 용인교육지원청, 용인동·서부경찰서, 녹색어머니회, 공유 PM 운영사를 합쳐 12개 기관과 관련 부서가 참여했다. 지난 10일 시에서 첫 회의를 열어 협력 방안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 |
용인시는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민·관 협의체를 출범하고 10일 첫 회의를 열었다. [사진=용인시] |
협의체는 정기 회의에서 무분별한 'PM' 주차로 인한 보행 불편, 보호구 미착용, 청소년 무면허 운행처럼 개선이 필요한 사례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세세한 해결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더구나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안전 대책을 수립하고, PM 운영사와 협력해 현장 중심의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 시민 체감도를 높일게끔 홍보·교육 활동도 줄곧 확대할 방침이다.
협의체는 오는 11월 'PM, 편리함 너머의 책임'을 주제로 학교 주변과 주요 생활권에서 안전 수칙을 홍보하고 필요할 경우 계도 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헬멧 착용, 안전 운행, 올바른 주차 방법을 오프라인을 비롯해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홍보할 예정이다.
시 관게자는 "최근 청소년을 중심으로 PM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안전사고 위험과 시민 불편이 가중해 이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협의체를 출범했다"며 "협의체에서 더욱 체계 있는 안전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홍보와 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