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추가 관세는 푸틴 대통령 압박 수단...중국에는 유사 제제 없어"
모디 "영세 기업과 농민·낙농업자에게 결코 피해 없을 것...국산품 애용해야"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미국이 인도에 25% 상호 관세에다 징벌적 성격의 25% 추가 관세까지 총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인도는 자국 농업 보호 등 기존의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25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국토안보부(DHS)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인상된 관세는 오는 27일 오전 12시를 기점으로 적용된다고 밝혔다.
미국의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문제 삼아 결정한 조치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26%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관세 인하 등을 포함한 무역 합의를 위해 양국은 5차례 협상을 벌였으나 인도의 유제품 및 농업 시장 개방과 러시아산 원유 구매와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미국은 인도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25%로 조정한 뒤 이 외에 별도의 제재를 예고했다. 인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석유를 대량 구매해 전쟁 자금을 대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결국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블룸버그는 "이(미국의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종식 위한 협상 테이블에 나오도록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며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의 다른 주요 수입국, 특히 중국에는 유사한 제재를 가하는 것을 자제하고 있다고 짚었다.
![]() |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인도는 미국의 추가 관세는 불공정하다고 반박하면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미국과의 협상에서 핵심 쟁점이 된 농업 분야 역시 양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26일 인디안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전날 아메다바드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서 "아무리 큰 압박이 있어도 우리는 이를 견뎌낼 힘을 계속 키울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영세 기업과 농민·낙농업자에게 결코 피해를 입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디 총리는 이어 국산품 구매를 촉구하면서 "이것이 '빅시트 바라트(Viksit Bharat·발전된 선진 인도)'로 가는 중요한 여정"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인도에 대한 2차 관세를 포함한 공격적인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해 러시아가 석유 경제에서 부자가 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폭격을 중단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자 25%의 추가 관세 부과를 이틀 앞두고 나온 것이라고 매체는 지적했다.
모디 총리는 앞서 이달 초 뉴델리에서 열린 행사에서도 우리는 농민의 복지가 최우선"이라며 "인도는 농민과 유제품 산업, 어민 복지를 두고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당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직후로, 모디 총리는 "개인적으로 그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을 알고 있지만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 |
[델리 로이터=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15일(현지 시간) 인도 델리 붉은 요새에서 독립기념일 기념 행사가 열린 가운데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연설하고 있다. 2025.08.15 hongwoori84@newspim.com |
수브라마니얌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 장관은 23일 뉴델리에서 열린 한 경제 포럼 행사에 참석해 "(미국과) 협상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관계는 단절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자이샨카르 장관은 그러나 "통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세를 적용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협상에서는 지켜야 할 일부 레드라인(한계선)이 있고, 이를 유지하고 방어해야 한다. 우리는 '국가 이익'에 따라 결정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이샨카르 장관은 또한 러시아산 원유 구입을 이유로 자국에 적용된 미국의 보복성 관세가 중국이나 유럽연합(EU) 등 다른 수입국에는 적용되지 않았다며 "원유가 문제라면 더 큰 구매국도 있다. (러시아와의 원유) 거래량이 더 많은 국가가 있다면 그곳이 더 큰 거래국"이라고 지적했다.
쿠마르 주러시아 인도 대사는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50% 관세 부과) 결정은 불공정하고 불합리하며 정당하지도 않다"며 "인도는 우리에게 유리한 나라의 원유를 구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역은 상업적 기반으로 이뤄진다"며 "상업적 기반이 올바르다면 인도 기업들은 가장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곳에서 계속 (원유를) 구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