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 골드만 '기술주 트레이더'의 하반기 전망…"과열? 쫄지마"

기사입력 : 2025년07월03일 09:47

최종수정 : 2025년07월03일 11:21

단기 과열 경계 속 AI 낙관론 제시
"AMD 개장 전 2~3% 상승 일상화"
P/E는 5년 평균 수준, "고점은 아냐"
AI 효율성 개선과 클라우드 성장 초점
"소프트웨어 '비인기 정서' 속 기회"
"투자자들 선두그룹에 아직 편향적"

이 기사는 7월 3일 오전 09시4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골드만삭스는 올해 하반기 미국 기술주 시세 전망에 대해 단기 과열을 경계하면서도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며 낙관론을 전개했다. 하반기 주목할 동향과 주시 종목도 함께 제시했다.

2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의 세일즈·트레이딩 부문 소속의 피터 캘러한 미국 기술주(TMT; 기술·미디어·이동통신 영문 약어) 스페셜리스트는 '하프타임(상반기 결산과 하반기 전망)' 보고서를 내고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과열 염려 속 낙관"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기술주 과열 판단의 배경으로 관련 주가지수인 나스닥100이 올해 2~4월 25% 급락한 뒤 극적으로 회복해 불과 3개월도 안 되는 기간 동안 37%나 반등한 점을 거론했다.

AMD 장중 주가 10일 추이 [자료=코이핀]

관련 분석에 따르면 나스닥100은 이날까지 6거래일 연속 상승한 가운데 상대강도지수(RSI, 14일)가 과매수 판단 기준인 70을 넘어선 73을 기록해 작년 7월 이후 최고치에 도달했다.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현재 기술주 상황이 '작년 6~7월' 급등 국면과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최근 수 주 동안 AMD(종목코드 동일) 같은 인공지능(AI) 관련주가 개장 전에 2~3% 상승하는 모습이 일상화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단기 과열을 염려하면서도 하반기 시세 방향에 대해서는 낙관론을 제시했다. 과열로 인해 단기적인 시세 부침의 가능성이 있지만 인공지능(AI) 기대감 등이 하반기 시세를 뒷받침할 것이라는 논리다.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당장 명확한 악재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기술주의 2분기 실적 기대치가 낮은 점이 되레 상승 여력의 배경이 된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 나스닥100의 PER(주가수익배율, 포워드)는 약 28배로 5년 평균치와 비슷하고 30배대의 고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나스닥100 PER(포워드) 추이 [자료=골드만삭스, 블룸버그]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정책금리 인하와 AI 효율성 개선, 규제 완화 등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세상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했다.

다만 그는 '시장 폭(Market Breadth)' 지표는 현재 수준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하반기 주목 동향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올해 하반기 기술주 동향에서 주시할 대목으로 'AI를 통한 운영 효율성 개선'과 '퍼블릭 클라우드 성장률 가속화'를 꼽았다.

아마존(AMZN)의 운영 효율성 개선 발언이나 팔로알토네트웍스(PANW)의 2분기 실적 발표가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골드만삭스의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AI 반도체 관련주 지수 추이 [자료=골드만삭스, 블룸버그]

그는 클라우드와 관련해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애저와 오라클(ORCL)의 OCI가 상반기 성장률 가속화를 보인 뒤 주가가 급등한 사례를 들며 하반기에는 아마존 AWS와 구글(GOOGL) GCP의 성장률 개선 여부를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또 데이터독(DDOG), 스노우플레이크(SNOW), 몽코DB(MDB) 같은 관련 기업도 함께 모니터링 대상으로 제시했다.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해서는 '비(非)인기 정서' 속에서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소프트웨어 섹터가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 있다며 사용자 수 증가세 둔화, 신생기업과의 경쟁 심화, AI 에이전트의 대체 위협이라는 약세론자들의 주장을 소개했다.

다만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세일즈포스(CRM)의 마크 베니오프 최고경영자(CEO)가 일부 분야에서 내부 업무의 30% 이상을 AI가 처리한다고 발언한 것을 언급하며 관련 사례가 소프트웨어 섹터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반도체와 인터넷 섹터에서 '인기 종목'과 '비인기 종목'의 격차가 벌어진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섹터에서의 혼란상과 무관심이 오히려 하반기 롱/숏 전략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성과 격차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올해 상반기 빅테크 종목의 동향에 대해 성과 차이가 극명했다고 평했다.

그에 따르면 선두 그룹의 종목은 메타(META),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NVDA) 등이고 후발 그룹은 구글, 아마존, 애플(AAPL) 등이다. 두 그룹의 성과 차이는 20%포인트 이상이라고 한다.

골드만삭스 TMT 대형 기술주 지수 연초 이후 수익률과 관련 종목별 수익률 [자료=골드만삭스, 블룸버그]

캘러한 스페셜리스트는 현재 투자자들의 매매 동향에 대해 하반기 이른바 '평균 회귀' 현상의 실현을 염두에 두지 않고 후발 그룹에 포지션을 취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성과 차이가 크게 발생하면 투자자들이 후발 그룹의 종목들을 매수를 할 법한데, 실제로는 하반기 반전 가능성에 대비하지 않고 선두 그룹의 종목을 고집하는 편향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는 여전히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대한 투자 심리가 아마존, 구글, 애플보다 훨씬 낙관적인 상황이라고 했다.

또 그는 향후 방향성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종목을 제시했다. AMD와 아리스타넥트웍스(ANET), IBM(종목코드 동일), 오라클, 세일즈포스,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구글, 우버(UBER) 등이다.

AMD에 대해서는 '추가 상승 여력 여부', 아리스타에 대해서는 '경쟁 심화 우려', IBM은 '방향성 불투명' 등을 쟁점으로 소개했다.

또 오라클은 '현금흐름 vs 수주잔고(RPO) 평가 초점', 세일즈포스는 '반등 가능 여부',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프리미엄 성장 구조의 유지 여부', 구글은 'AI와 규제 문제', 우버는 '자율주행의 기회·위험 판별 여부' 등을 언급했다.

또 최근 상승 모멘텀(기세)에 있는 종목으로 로블록스(RBLX), IBM, 시스코시스템즈(CSCO), 브로드컴(AVGO), KLA(종목코드 동일), 클라우드플레어(NET), 로빈후드(HOOD), 테이크투인터랙티브(TTWO), 씨게이트(STX)를 거론했다.

또 암페놀(APH)과 자빌(JBL), 플렉스트로닉스(FLEX),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넷플릭스(NFLX) 등을 관련주로 거론했다.

◆상반기 결산과 일정

다음은 캘러한 스페셜리스트가 정리한 상반기 최상·하위 수익률 종목과 주요 일정이다.

1. 상반기 수익률 최고 주식
서클인터넷그룹(CRCL): +500%
코어위브(CRWV): +300%
로빈후드: +149%
AST스페이스모바일(ASTS): +122%
팔란티어(PLTR), 클라우드플레어: +82%
로블록스: +80%

2. 상반기 수익률 최악 주식
글로반트(GLOB): -58%
빌홀딩스(BILL): -45%
온토이노베이션(ONTO): -39%
더트레이드데스크(TTD): -38%
테슬라(TSLA), 애플: -20%

3. 주요 일정
7월:
7월8~11일: 아마존 프라임 데이
7월9일: 삼성 갤럭시 언팩 이벤트, 트럼프 펜실베이니아 에너지혁신 서밋 참석 예정
7월10일: EA 컬리지 풋볼 2026 출시

8월:
8월5~7일: FMS 메모리&스토리지 컨퍼런스
8월10~14일: SIGGRAPH 2025
8월25~28일: 브로드컴 VMWare 익스플로어
8월27일: 엔비디아 2분기 실적 발표

9월:
9월 초: 애플 연례 아이폰 이벤트(예상)
9월17~18일: 메타 커넥트, AI 컨퍼런스

bernard0202@newspim.com

[관련키워드]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