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87개 중 15개 A등급…대다수 에너지 기업
2년 이상 'A등급' 유지 무투·환경공단 2곳에 그쳐
올해 0점 페널티 확대…A등급 유지 총력전 예상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는 단순한 '성적표'를 넘어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평가 등급에 따라 기관장 인사와 성과급, 예산 삭감 등 후속 조치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올해도 87개 기관이 실사 대상에 오른 가운데, 각 기관은 등급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최근 2년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공기업들의 성적 추이를 되짚고, 올해 등급 향방을 전망해 본다.
[세종=뉴스핌] 백승은 기자 = 작년 공공기관 평가 대상 87개 기관 중 '탁월(S)' 바로 아래 단계인 '우수(A)' 등급을 받은 기관은 15개다. 최근 2년간 'S등급'을 받은 공공기관이 없었기에 사실상 최고 등급 평가다.
특히 A등급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PS 등 에너지 기업이 대거 포진한 것이 특징이다. 공기업 6곳 중 5곳이 에너지 공기업이다. 관련 기업들이 올해도 A등급을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A등급' 공기업·준정부기관 15개…에너지 기업 다수
14일 기획재정부의 '2023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따르면 평가 대상 87개 기관 중 A등급은 15곳이다. 평가 결과 B등급 30곳, C등급 29곳, D등급 11곳, E등급 2곳이다. 최상위 등급인 S등급은 2021년 이후 2년째 없었다.
지난 2021년 A등급 기관은 23개였지만, 공공기관 평가 기준이 엄격해지며 2022년 19개, 2023년 15개로 줄었다.
![]() |
A등급에 오른 공기업은 6개, 준정부기관은 9개다. 공기업 중에서는 인천국제공항공사를 제외하면 모두 에너지 기업이 차지했다.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지역난방공사 ▲한전KPS 등 5곳이 A등급을 받았다.
준정부기관 중에는 ▲국립공원공단 ▲기술보증기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연구재단 ▲한국환경공단이 A등급을 획득했다.
이 중 2년 이상 A등급을 유지한 기관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한국환경공단 두 곳뿐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경영관리 및 주요 사업에서 100점 만점 중 52.5점(가중치·계량 기준)을 받았다. 한국환경공단 역시 52.5점을 획득했다.
이 기간 에너지 기업 12개 중 3곳(한국지역난방공사·한국남동발전·한국남부발전)이 A등급을 획득했다.
반면 대표 에너지 기업인 한국전력공사는 양호(B)에 그쳤다. 한국석유공사와 한국서부발전, 대한석탄공사는 이보다 낮은 보통(C)이었다. 한국가스공사는 미흡(D)으로 주요 에너지 기업 중 가장 낮은 등급을 받았다.
◆ 올해부터 경평 기준 엄격…하향 조정 가능성 확대
올해 경평은 0점 페널티가 확대되는 등 절차가 더 까다로워진 만큼 관련 기업들은 A등급 유지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올해부터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안전 ▲보수 및 복리후생 ▲안전 및 재난관리 ▲윤리경영 ▲실적보고서 제출(허위·미제출)에서 중대한 위반이 발생할 경우 계량 여부와 무관하게 0점을 부여받는다. 주요 평가 지표 중 하나라도 0점을 받을 경우 종합적으로 등급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
![]() |
재무 성과 관리도 관건이다. 작년 공공기관(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 제외)의 부채 규모는 741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1.8% 증가했다. 다만 부채 비율은 180.7%로 전년의 183.0%에서 2.3%포인트(p) 개선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높은 등급을 유지하거나 등급을 상향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자구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재무 성과가 부진할 경우 불리한 요소 중 하나지만, 주관적 평가도 있는 만큼 평소 꾸준한 관리가 동반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