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당 유효 슈팅 수, 키패스 모두 11위
수비에서도 14골 중 10골이 후반 실점
[서울=뉴스핌] 손지호 인턴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수원FC의 김은중 감독은 계속된 팀의 부진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수원FC는 29일 현재 10경기 1승 4무 5패를 거둬 11위(승점 7)에 위치하고 있다. 19일 김천 상무와의 8라운드 홈경기에서 극장골을 넣어 극적인 올 시즌 첫 승을 거두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하는 듯했으나 이어진 경기에서 2연패를 거두며 부진 탈출에 실패했다.
![]() |
[서울=뉴스핌] 수원FC 안데르손.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2025.04.29 thswlgh50@newspim.com |
그나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었던 홈 무패 행진도 깨졌다. 홈에서 4경기 1승 3무를 거둬 안방에서만큼은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올 시즌 우승 후보로 여겨지고 있는 FC서울, 울산HD FC를 상대로도 굳건한 모습이었다. 하지만 직전 전북 현대와 경기에서 패하며 분위기가 더욱 가라앉었다.
지난해 수원FC 사령탑으로 부임한 김은중 감독은 적극적인 젊은 선수 기용과 상대 맞춤 전술로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김은중 감독의 지도력에 힘입어 수원FC는 2024시즌 리그 5위로 마감해 팀 역사상 K리그1 최고 순위를 달성했었다.
하지만 이후가 문제였다. 지난 시즌 돌풍을 일으켰던 자원들이 연달아 팀을 이탈했다. 수비 안정감 높여준 권경원이 UAE(아랍에미리트)로 떠났고, 중원과 전방에 활력을 담당하던 이승우, 강상윤(이상 전북), 정승원(FC서울) 등이 이적을 선택하며 전력 공백이 크게 생겼다.
수원FC의 김은중 감독은 올겨울 황인택, 이지솔, 서재민 등 젊은 자원들을 대거 영입하고 새로운 외국인 공격진을 구축해 "강등권만 피하자"라는 목표를 갖고 출발했으나 큰 공백을 메우긴 역부족이었다.
가장 큰 문제는 전방의 빈공이다. 10경기에서 단 8골로 팀 득점 11위다. 경기당 한 골도 못 넣고 있다. 수원FC는 경기당 슈팅 수 9위(10.3회), 유효 슈팅 수 11위(3.1회), 키패스 11위(5회)로 공격진의 날카로움이 매우 떨어진다. 특히 페널티 지역 내 슈팅 수 11위(54회)에 머물 정도로 결정적인 위치에서 슈팅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싸박(콜롬비아), 루안(브라질), 오프키르(노르웨이) 등 이번 시즌 새로 합류한 외국인 공격수들이 분투하고 있으나 이중 리그에서 다득점을 올리고 있는 선수는 싸박(3골)이 유일하다. 지난 시즌 팀의 에이스였던 안데르손(브라질)도 팀 내 드리블 수 1위(20회), 키패스 1위(17회), 슈팅 수 1위(20회)로 활발히 움직이나 아직까지 1골 3도움으로 지난해 대비 아쉬운 모습이다.
![]() |
[서울=뉴스핌] 수원FC 김은중 감독.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2025.04.29 thswlgh50@newspim.com |
수비력 개선도 시급하다. 수원FC가 고질병으로 갖고 있던 실점 문제가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수원FC는 10경기에서 14골을 내주며 팀 실점 전체 2위다. 클린시트 경기도 지난달 초 서울전이 마지막이다. 위험 지역에서 치명적인 실수가 실점으로 이어지는 장면이 많이 연출됐다. 실제로 12개 팀 중에서 볼 미스 1위(73회)를 기록할 정도다.
불안한 수비는 경기 기록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수원FC는 지상 경합 성공 11위(9.3회), 공중 경합 성공 11위(16.4회)로 경합에서 대부분 밀렸다. 그 외에도 차단 11위(208회), 획득 11위(798회), 태클 성공률 10위(30%)로 수비 지표 전반적으로 하위권에 맴돌았다.
특히 경기 후반부로 갈수록 수비 집중력이 많이 떨어진다. 막판 뒷심 부족으로 동점이나 역전을 여러 차례 허용했다. 올 시즌 수원FC가 허용한 14골 중 10골이 후반전에 나왔을 정도다. 직전 전북전도 경기 막판 실점해 승점을 챙기지 못했다.
김은중 감독은 "최대한 쓸 수 있는 자원을 유동적으로 기용 중이다. 자신감과 열정적인 부분을 좀 더 가졌으면 한다"며 "외국인 선수들이 주축으로서 이끌고, 뒤에서 한국 선수들이 열심히 받쳐 주고 있다. 선수들이 지금보다 더 분발해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