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 빅4 매출보다 영업익 증가 경향 뚜렷
비용 절감 효과…반짝 개선에 그칠 가능성
겹겹이 쌓이는 규제…신규 경쟁자까지 등장
올해 '탈TV' 가속화될듯…PB사 경쟁력 확보도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홈쇼핑 업계 대부분에서 지난해 영업익이 증가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매출 성장이 아닌 비용 절감 효과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2023년 업황 악화로 인한 기저효과가 반영된 만큼, 단순한 실적 개선으로 보기 어렵다는 평가다.
13일 홈쇼핑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소폭의 매출 증가 또는 정체 속에서 영업이익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판매 실적이 개선됐다기보다는 내부 비용 효율화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 |
롯데홈쇼핑의 경우 지난해 매출은 92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503.4% 증가한 498억 원을 기록했다. 패션 등 고마진 상품 비중을 확대하고 시니어 고객층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강화한 것이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판매관리비 절감 등 비용 절감 효과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현대홈쇼핑 역시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매출이 1조9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618억 원으로 37.7% 늘었다. 건강식품과 뷰티 등 마진율이 높은 상품군 비중을 확대한 데 더해 운영 비용 절감이 실적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CJ온스타일 또한 지난해 매출 1조4514억 원으로 8.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832억 원으로 20.1% 늘었다. 다만, GS샵은 주요 홈쇼핑 업체 중 유일하게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감소했다.
업계에 따르면, 홈쇼핑사들이 지난해 영업이익을 크게 늘릴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2023년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다. 2023년은 업황이 극도로 악화되면서 홈쇼핑 업계의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크게 악화된 시기였다.
![]() |
CJ온스타일 TV홈쇼핑 '박솔미 솔깃한 숏타임' 방송 장면.[사진=CJ온스타일] |
홈쇼핑업계는 올해도 여전히 송출 수수료 문제, 규제 강화, 경쟁 심화 등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매년 반복되는 송출 수수료 논쟁은 업계의 가장 큰 부담이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송출 수수료 문제로 일부 플랫폼에서 방송이 중단되는 '블랙아웃' 사태까지 겪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재로 갈등이 일단락되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여전히 나오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쿠팡, 네이버, 무신사 등 신생 플랫폼 업체들이 라이브 커머스 사업을 확장하면서 경쟁 강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케이블TV 사업자들까지 커머스 시장에 진출해 지역 커머스를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기존 유통망과 차별화된 판매 전략을 앞세우며 홈쇼핑과의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게다가 홈쇼핑사는 중소기업 상품 의무 편성 비율, 상품 구성 제한 등 규제까지 적용받고 있어, 경쟁에서 더욱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 한 관계자는 "홈쇼핑은 중소기업들에게 필수적인 판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단순히 시장 점유율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며 "규제가 지속되면 홈쇼핑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업계는 올해 TV 중심에서 벗어나 모바일 중심으로 전환하는 '탈TV' 전략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자사 애플리케이션(앱) 활성화와 라이브 커머스 방송 확대 등을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겠다는 전략이다. 또 자체 PB를 통해 고객을 끌어모으려는 노력도 올해 지속될 전망이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