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中新社东西问】郑宗模:儒学如何影响现代文明?

기사입력 : 2024년07월29일 16:31

최종수정 : 2024년07월29일 16:31

纽斯频通讯社首尔7月29日电 第十届尼山世界文明论坛7月10日至11日在山东曲阜举办。与会专家、韩国釜山大学哲学系教授郑宗模就此接受中新社"东西问"独家专访,阐述儒学对东亚国家文化和社会结构的影响,并探讨儒学对现代文明的可能影响。

现将访谈实录摘要如下:

中新社记者:您认为儒学对东亚国家的文化和社会结构发展产生了哪些影响?儒家思想在现代社会文明中有哪些体现?

郑宗模:儒学起源于中国,对东亚,尤其是韩国和日本影响很大。特别是在朝鲜王朝时代,儒学对政治、思想和民众的生活方式产生了巨大影响。可以说朝鲜半岛的政治、思想、文化、教育、道德乃至风俗习惯、社会风貌等各方面都受到儒学的深刻影响。

直至现在,儒学仍以传统的名义产生着影响,尤其是在韩国,儒学传统至今仍在伦理价值等问题上发挥着重要的哲学和思想渊源方面的作用。例如,在精英领导体制(meritocracy)的价值观今天是否依然有意义的讨论中,儒家价值观为人们提供了一个思考的角度。另外,越来越受到重视的环境或生态问题,也可以与儒家价值观联系起来讨论。这些方面都是儒学价值在今天仍然具有重要哲学潜力的例子。

韩国庆尚北道的安东市是韩国儒教文化名城,乡校和书院十分发达,陶山书院便是其中的代表。【图片=潘旭临 摄】

中新社记者:您能否从具体案例来谈谈儒学对现代文明的影响?

郑宗模:举例来说,环境或生态问题虽是近代以后才正式出现的课题,但已成为全球性的共同难题。这些问题的原因虽不能一概而论,但确实是人类现代文明发展所带来的,而这背后其实是价值观、世界观的反映或结果。所以从这一点上看,环境或生态问题的解决需要哲学思想的助力,可以尝试从东方儒家思想中寻找供人们反思问题、解决问题的线索。

比如宋代儒学就推崇对"一切生命"的尊重,这一方面根植于孔孟儒学的传统,另一方面也源于他们自身的哲学成果。尤其,北宋理学家程颢用"万物同体"的观念建立了宋代特有的"生命观",认为人类对所有生命负有道德义务。现代人可以从这种哲学思想中,探索到解决当下环境或生态问题的哲学应用可能性。

"绿水青山就是金山银山"理念发源地浙江省湖州市安吉余村。【图片=王刚 摄】

中新社记者:儒学的哪些核心思想可被视为影响文明交流互鉴的重要资源?

郑宗模:我认为儒学是打开21世纪"文明之间对话"窗口的非常重要的资产。儒学有"恕"的思想,这是理解和沟通他人的基础。我认为这是能够超越以我为中心存在的家人、朋友、民族、国家,从而形成全球共同体的重要思想基础。另外,儒学还有"和谐"和"中庸"的思想,就是说虽然存在各式各样的个别和现象所展现出的特殊性,但这种特殊性最终会通过一个普遍性而具有意义。这种普遍性和统一性,则是理解和接受不同(现状)的根本。

中新社记者:随着现代社会的发展和全球化进程的加速,出现了很多全球性问题,儒学如何帮助解决冲突和促进文化理解?

郑宗模:基本上在儒学的世界观里,摒弃了权威的支配,构想了以教化修养为基础的和谐共同体,从这个角度来说,儒学对解决不同国家或文明间冲突是可以发挥一定作用的。

近来,全球经济和政治紧张局势加剧,其重要原因之一可说是利益矛盾。孔子曾说,"见利思义",指见到利益,应该想一想符不符合道义,该取的可以取,不该取的不应据为己有。也就是说比起利益,人们更需要追求道义。另外,儒学中所说的"礼治"理念也有类似的作用,在将这些价值扩张到国际秩序中时,同样能够起到引导人们追求和平与共存、而非激化矛盾的思想(指导)作用。

此外,通过内心省察来谋求和谐世界这一点,需要所有人的努力。在现代资本主义社会中,集体和个人越来越重视自己的利益和生存。儒家价值的核心是"仁义",这意味着对他人的爱和尊重,以及为了共同体的相生和繁荣的共同追求。传承这种儒家精神,有助于化解现代社会各个领域的矛盾和冲突。

中新社记者:您与其他中国及海外专家学者更关注哪些议题?

郑宗模:尼山论坛以文明之间的对话和沟通为目的,促使儒学界知名学者在思想哲学上寻找新的突破,已经收获了不少的知识性讨论和成果。本届尼山论坛依旧延续此前的传统和成果,尤其是在生态问题、环境问题、国际秩序的和平稳定、人类与人工智能共存等,即围绕克服现代文明面临的各种问题和危机进行多样的讨论。(完)(中新社记者 刘旭,实习生王东倩对本文亦有贡献)

受访者简介:

郑宗模,韩国学者,2006年取得韩国西江大学哲学硕士学位后,前往中国台湾进修博士学位,于2015年取得台湾国立中央大学哲学系博士学位。现任韩国釜山大学哲学系教授,韩国阳明学会研究理事等。主要研究领域为宋明儒学、当代新儒学,包括二程(程颢和程颐)、朱熹、王阳明、李滉、牟宗三哲学。作为中国哲学领域的研究者,郑宗模迄今为止以在韩国主要学术期刊发表论文数十篇,在2018年获得韩国阳明学会学术奖,并参与《退溪学派的人们5》的编著。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