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부터 올해까지 선행 연구 진행...기체 포집기 시범 운영
AI 분석으로 신속·정확한 분석 기대
변사체 사인 분석·독성물질 검출 등 사용 범위 확대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인공지능(AI)을 연계해 화재나 재난 현장에서 나오는 기체로 유해물질 유출 여부나 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기법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연구가 추진된다.
10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2024 과학적 범죄수사 고도화 사업' 신규 과제로 '인공지능 기반 위해기체 고속 분석 플랫폼 구축'을 선정하고 관련 공고를 게시했다.
해당 과제는 기체분석 기법과 관련한 것으로 올해 초 경찰청이 발표한 '2024 경찰청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에 포함된 과제 중 하나다.
연구는 앞서 2017년부터 올해까지 경찰청뿐 아니라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진행한 '국민 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분석 기술개발'의 후속이다.
기체분석 기법은 화재 등 사고 현장에서 기체를 포집하는 포집기를 통해 사고 원인을 분석하거나 증거물 수집, 유해물질 누출 여부 등을 파악한다.
경찰청 본청 [사진=뉴스핌DB] |
앞선 연구를 통해 위해기체 포집기를 개발했으며 현재 경찰에서는 전국에 33대가 시범운영되고 있다. 주로 화재현장에서 화재발생 원인 파악이나 증거물 수집 등에 활용되고 있고, 일부 사건 재판에서는 재판부가 포집기 분석 결과를 증거로 채택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과제의 핵심은 기체분석 기법에 AI 기술을 적용해 기법 활용을 고도화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분석 패턴이나 관련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기법을 고도화하게 되면 화재뿐 아니라 독성물질, 변사체 사인 분석 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는 올해 9월부터 시작해 2028년 8월까지 4년간 진행되며 총 2개 세부과제에 약 71억원 규모로 진행된다.
경찰 관계자는 "포집기 등 기체분석 연구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과학수사 기능 등에서 수요도 높고 현장 반응도 좋다"면서 "AI 기술을 적용하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하고 활용 범위도 확대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