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모빌리티 기업들이 본업인 모빌리티 외에도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 다각화에 본격 나서고 있다.
◆ 쏘카, '쏘카 2.0' 전략 실행… "차량과 이용자 LTV 극대화"
8일 업계에 따르면, 쏘카는 2025년 매출 7100억원, 영업이익 1000억원을 목표로 '쏘카 2.0' 전략을 실행 중이다. '쏘카 2.0'전략이란 차량과 이용자의 LTV(Lifetime Value: 생애주기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쏘카 카셰어링과 연계한 서비스 추가 발굴 슈퍼앱을 진화 중이다.
지난해 5월 전국 2만5000개 호텔·리조트 등 숙박 시설이 예약 가능한 '쏘카스테이'를 론칭했다. 지난해 5월 간편결제 서비스 '쏘카페이'도 론칭했다. 지난해 9월 공유전기저전거 서비스 일레클 쏘카 앱을 연동시켰다.
올해 3월 기업 간 거래(B2B) 카셰어링 솔루션 '쏘카 FMS'을 론칭했다. 또한 모두의주차장(제휴 주차장 검색 및 주차권 구매) 서비스를 네이버와 연동했다.
올해 2분기 중 네이버와 연동해 네이버에서 카셰어링 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다. 연내 공항이동을 위한 카셰어링과 기사 포함 렌터카 등 형태의 '쏘카에어'를 론칭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카셰어링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쏘카는 단기 대여인 카셰어링과 중장기 대여인 쏘카 플랜간의 연계 운영을 강화해 카셰어링 서비스의 매출 및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카셰어링 외 이동수단(일레클, KTX, 모두의주차장 등) ,서비스(쏘카스테이 등) 라인업을 구축해 고객 락인효과 및 서비스 교차 사용을 유도해 이용자 1인당 LTV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 출시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 카카오모빌리티, 로봇 배송 서비스 상용화 나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달 22일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을 공개하고 자체 로봇 오픈 API(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플랫폼 '브링온(BRING-ON)' 을 출시하며 로봇 배송 서비스 상용화에 나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로봇 생태계 확대를 위해 로봇 제조사와 플랫폼 사업자, 서비스 사업자 간 연동 표준을 수립하고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이 이러한 연동의 핵심이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회사는 자사의 고정밀지도 기술을 활용해 로봇 향 맵 표준을 수립하고 맵의 구축 및 업데이트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로봇 플랫폼의 연동 표준을 수립하고 서비스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이종 로봇 관제, 동적 최적 경로 생성 등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와 로봇 간의 간단한 연동 및 적용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최근 LG유플러스와 전기차 충전사업 합작법인(JV)을 설립했다. 양사는 지난해 6월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하면서 전기차 충전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각각 250억원을 출자해 총 500억원 규모의 합작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JV 설립 승인 절차가 마무리돼 회사 설립을 위한 제반 절차를 빠르게 진행할 계획이며 양사간 시너지를 통해 전기차 충전 시장의 기존 불편을 플랫폼 기술을 통해 해소하고, 전기차 전환 시대를 선도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카카오T 와 카카오내비를 통해 구축해온 플랫폼 역량에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해 사물의 이동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로봇 기술이 실생활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영역을 발굴해 서비스로 구현하고 서비스 상용화에 요구되는 기술을 고도화해나가며 플랫폼 기반의 로봇 생태계 안착에 힘쓰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 휴맥스모빌리티, 주차장 운영·스마트 주차 기술·카셰어링·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휴맥스모빌리티는 전기자동차 충전(투루차저), 주차장 서비스(투루파킹), 카셰어링(투루카), 발레파킹(투루발렛플러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주차 관제 통합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며 오프라인 주차장의 디지털 전환(DX)을 진행 중이다.
MHP(Mobility Hub Platform)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결합한 솔루션이다. 주차장 공간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다. 기존 대비 200배 이상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 처리와 AI 진단 시스템으로 시스템 장애를 줄이고 모빌리티 거점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네이버와 함께 투루파킹의 '시간권', '당일권' 등 주차권 예약 결제를 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서비스를 연계했다. 올해 2월 기준 수도권에 총 40개소를 우선 연동했다. 연내 300개소까지 확장해 주차장 서비스 이용성도 높일 예정이다. 투루카 편도 카셰어링 '리턴프리'는 올해 1월부터 카카오모빌리티와 카셰어링 제휴 사업으로 '카카오T' 애플리케이션에서 '앱 인 앱' 형태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과 현대위아와 세계 최초로 민간 상업빌딩 내 로봇주차 상용화에 성공했다. 특히 현재까지 시운전 수준이었던 주차로봇 테스트와 달리 투루카 플랫폼 내 스마트키로 사용자가 로봇을 직접 호출할 수 있게 했다. 24시간 콜센터를 통한 현장대응 메뉴얼도 만들어 로봇을 실제 업무용 카셰어링 서비스에 접목시켰다. 3사는 각 사가 보유한 기술과 역량을 모아 향후 로봇 친화형 빌딩의 스마트 주차 솔루션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는 수요 플랫폼보다 차량∙사람∙상품의 위치가 바뀌는 중요 지점으로 주차장에 주목하며 모빌리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모빌리티 거점으로 중요한 도심 속 주차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주차장과 주차면을 정보화해 새로운 공간 기반 모빌리티 사업 고도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모빌리티 허브 플랫폼(MHP), 인공지능(AI) 비전 기술을 활용한 APGS(Advanced Parking Guidance System) 등 다양한 기술과 카셰어링, 전기차 충전 솔루션 등 내ᆞ외부 자원을 주차장 거점에 적용 및 통합해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공간 기반의 모빌리티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휴맥스모빌리티 관계자는 "자사가 가지고 있는 차별화인 '오프라인 베이스'를 통해 수요플랫폼과 협력하는 공급 플랫폼으로써 혁신을 이루고 경쟁력을 갖추고자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모빌리티 기업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 주차장 운영 및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스마트 주차 기술, 카셰어링, 전기차 충전 솔루션 등 사업 다각화와 동시에 각 서비스 연계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