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동참
배당 계획 확인하고 투자하도록 개선
배당금 늘리며 주주환원정책 강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유통업계가 일제히 '깜깜이 배당'을 해소하기 위한 배당 절차 개선에 돌입한다.
배당금을 확인한 후 투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해 나서겠다는 의지다. 이와 함께 배당금을 늘리거나 자사주를 소각하는 등 주주 환원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배당 확인하고 투자"...배당기준일 일제 변경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에 발맞춰 유통가들은 이번 주주총회에서 배당 정책 개선을 위한 정관 변경에 나선다.
롯데지주, 롯데쇼핑, 현대백화점은 배당기준일을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기준일과 다른 날로 정할 수 있도록 개정한다. 또 이사회 날 정해지던 중간배당 기준일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신세계는 배당기준일을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기준일과 다른 날로 정할 수 있도록 우선 개정한다.
현대백화점그룹 지주사인 현대지에프홀딩스는 금융위 등이 발표한 '배당절차 선진화 방안'을 반영해 배당액을 결정한 후 배당기준일을 설정할 수 있도록 규정을 정비한다.
GS리테일은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결의로 결정할 수 있도록 관련 조문을 정비하기로 했다.
이마트는 이보다 앞선 지난해 업계 최초로 배당기준일 관련 정관을 바꾼 바 있다. 당시 이마트는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기준일을 배당 기준일로 명시하고 있었으나 이사회 결의를 통해 배당일을 정할 수 있도록 했다.
유통업계가 줄지어 배당정책을 개선하는 이유는 정부가 추진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지금까지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매년 말일을 배당기준일로 정하고 있다. 이어 다음해 3월에나 열리는 주총에서 배당 여부나 배당금을 의결해 왔다.
그렇다 보니 투자자들 입장에선 이 회사의 배당 계획을 미리 알 수 없었다.
예컨대 한 투자자가 주당 3000원의 배당을 예상하고 주식을 매수했으나 실제 배당은 1000원이 될지, 아예 없을지 매수 당시에는 알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실제로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특히 배당을 중시하는 외국계 기업이나 투자기관의 경우 배당의 규모를 파악할 수 없어 투자를 꺼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했다.
이 같은 '깜깜이 배당'은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개선 요구가 있어졌고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을 받아 왔다.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배당기준일을 배당금 결정 이후의 날로 정해 투자자들이 확정된 배당금액을 확인한 상태에서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주주 환원을 강화하고 기업가치를 제고하라는 정부 정책과 사회적 요구에 선도적으로 부응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수익 악화 속 배당금은 늘려
유통업계는 '깜깜이 배당' 해소를 비롯해 배당금을 확대하고 자사주를 소각하는 등 주주친화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지난해 324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한 롯데쇼핑은 배당금을 15% 가량 올려 보통주 기준 3800원을 지급한다.
신세계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2096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배당금은 보통주 기준 4000원으로 6.7% 올렸다.
롯데지주의 경우 지난해 57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으나 배당금은 보통주 기준 전년과 동일한 1500원을 유지했다.
지난해 187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한 이마트도 전년과 동일한 2000원을 배당한다.
지난달 중장기 배당 정책을 발표한 현대백화점그룹은 현대백화점의 경우 향후 3년간 최소 배당액을 기존 최소 1000원 이상 배당에서 1300원 이상으로 상향했다.
현대홈쇼핑은 앞으로 3년간 주당 2500원 이상의 배당액을 주주들에게 보장하기로 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의 기업가치를 높이고 주주 환원을 강화하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주주 친화 정책을 진행하기로 했다"며 "주주입장에서 배당 예측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