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연 나이 혼용…접종기관 현장 혼선
HPV 백신 유료 접종 시 총 40만원~60만원
무료접종 시기 놓쳐 불만…민원 제기 급증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자궁경부암 백신 무료접종을 놓고 현장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1회당 20만원의 백신을 2~3회를 맞아야 하는데, 정부의 잘못된 공지에 무료접종 기회를 놓치면서 민원이 크게 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4일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HPV) 감염증 예방을 위해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자에게 겨울방학을 활용해 예방접종을 당부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 연도‧나이 기준 엇박자…질병청 "접종기관에서 확인해야"
하지만 <뉴스핌> 취재 결과, 질병청은 무료접종 대상 기준을 알리기 위해 출생 연도와 나이 기준을 함께 안내 했다. 연도에 따른 만 나이와 연 나이를 혼용해 안내했다.
현장 공무원들은 이 기준을 보고 헷갈린다는 반응이다. 질병청은 현장에서 확인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혼선에 대한 책임을 접종기관에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HPV는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 구인두암을 일으키는 감염병이다. HPV 백신은 관련 암을 예방하는 의약품으로 질환에 90% 이상 예방 효과가 있다.
HPV 백신 유료‧무료 예방접종은 만 9세부터 접종 가능하다. 질병청은 올해 무료 예방 접종 안내에 '12~17세(2006년~2012년생) 여성 청소년과 18~26세(1997~2005년생)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고 적었다.
문제가 되는 기준은 무료 예방 접종을 받는 여성 청소년 기준이다.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2006년생은 만 17세다. 반면 2012년생은 만 11세다.
질병청은 "(대상 기준을 쓸 때) 만 나이 기준이 원칙이지만 해당 연도 만 나이 구간이 걸쳐져 특정 나이 안내는 2년 기간으로 한다"고 말했다. 만 11세와 맞추면 해당 연도는 2011년으로 써야 하지만 2012년으로 적어 더 많은 사람이 접종받도록 하기 위해서다.
반면 접종 기관 관계자는 이 기준을 보고 "헷갈린다"는 반응이다. 지방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정 씨는 "기준이 헷갈린다"며 "나이 앞에 '만'이라고 정확한 표현이라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무원 김 씨의 반응도 마찬가지다. 그는 "작년에 안내한 내용을 보면 대상 나이인 12~17세에 대해 2005년부터 2011년라고 안내했다"며 "연속적인 사업 특성상 1년씩 늘려 적어 2006년부터 2012년까지라고 적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끝내 "나이와 연도가 맞지 않아 모르겠다"는 답을 내놨다.
지방 보건소에 근무하는 담당자는 "연도 기준으로 안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 18세까지 받을 수 있는데 생일이 안 지났으면 2005년생으로 연도가 다르다"고 답했다.
◆ 무료접종 혜택 놓치는 사례 늘어…유료 접종시 40만원~60만원 '골탕'
질병청은 "실제로는 접종 기관에서 확인해 접종과 상담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장은 현장에서 확인하라는 중앙 정부의 답변이 무책임하다는 지적이다.
정 씨는 "(정부에서) 구분을 정확하게 적지 않으면 왜 저렇게 적었냐는 등 민원이 많이 들어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책임을 떠넘기는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소속 전문의(오른쪽)가 청소년에게 자궁경부암 백신 예방접종을 하고 있다.[사진=글락소 스미스클라인] |
공무원 김 씨는 시민의 혼선을 우려했다. 그는 "정부 기관에서 적은 기준을 보고 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며 정부가 기준을 명확히 해야 시민의 혼선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만 11세인 여성청소년의 경우 나이만 보고 접종 기관에 문의하지 않으면 해당 연도에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2006년생 여성 청소년이 혜택 기간을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무료 혜택 대상의 시작 기준인 '2012년'과 '12세'를 보고 기준을 '연 나이'로 오해하는 경우다. 본인 나이를 연 18세로 생각해 기준 '12~17세 여성 청소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오해하고 접종 기관을 방문하지 않으면 무료 접종 시기를 놓친다.
HPV 백신은 유료 접종하는 경우 그 가격은 소비자가로 병원마다 다르게 책정된다. 1회당 20만원 수준이다. 2회~3회를 맞아야 하는 백신 특성상 총 60만원의 비용이 든다.
질병청은 "사업이 시작될 때 계속 이런 방식으로 안내를 해왔다"며 "다만 효과적인 알림 방식을 고민해 보겠다"고 답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