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에 필요한 역량에 집중해야"
"수·정시 시기 조정, 2028 도입 안해"
"사회·과학 절대평가제 허용 큰 의미"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이주호 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이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심화수학(미적분Ⅱ·기하)이 제외된 확정안을 발표하며 현재 수학 교육 방식이 크게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공지능(AI)시대에 맞춰 현재 문제 풀이 방식의 수학교육보다 사고력을 비롯한 수학적 역량을 갖추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부총리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확정안'(대입 개편안)을 발표하며 수능 심화수학 제외, 수능 선택과목 폐지, 고교 내신 절대·상대평가 병기 제도 등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확정안 관련 브리핑 갖고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3.12.27 mironj19@newspim.com |
<다음은 이 부총리와의 일문일답>
-수능 심화수학 제외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있었는데 그럼에도 결정한 배경은 무엇인가
▲수능 심화수학을 제외한 것은 정부의 1안이었다. (수능 심화수학이 포함된) 2안을 국교위에 추가 검토 방안을 요청 한 건 워낙 관련 의견이 많아 사회적인 논의를 거치자는 것이었다.
챗GPT가 인간이 할 수 있는 이상의 역할을 하는 시대다. 수학을 교육하는 방식도 크게 달라져야 한다. 특히 우리 수능에서 그간 너무 어려운 수학을 문제 풀이 중심으로 하면서 아이들이 수학에 흥미를 잃거나 너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수학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목이라 AI시대에 수학이 더 재밌고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미래에 필요한 사고력, 수학적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데 있어서 오히려 심화수학을 제외하고 아이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을) 집중하는 게 훨씬 바람직하다는 의견 많았다. 심화 수학이 제외된 이후 교육부에서 앞으로 노력해야 할 부분은 아이들이 수학에 좀 더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수학을 미래 사회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과로 만드는 것이다.
또 다른 지적은 사교육 유발. 이런 부분에서도 긍정적 효과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심화수학 포함 여부를 현 정부에서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나.
▲다시 돌아가거나 그럴 일은 없을 것이고, 이 방향으로 계속 수학 교육이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의대나 자연대·공대에서는 내신에서 고교 심화수학 과목 이수를 강제할 수도 있을 텐데 가이드라인 등 어떻게 이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건가
▲이 부분은 대학과 협의해야 한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이렇게 하겠다'고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향후 입시안을 안착시키기 위해서 대학 입학처장님들이나 교육감님들, 교사분들의 입장을 들을 것이고 이런 과정에서 지금 제시한 그런 부분들도 가닥이 잡힐 것이다.
▲ (최은희 인재정책실장) 현재도 일부 대학은 정시모집에서 내신을 부담되지 않는 정도의 수준에서 반영하고 있거나, 반영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대학 현장과 함께 협의회를 운영하면서 2028 대입 개편안을 안착시키는 논의를 하고 협력할 것이다.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 권고 내용 중에 '수능 및 수시·정시 시기 조정에 대한 추후 검토'가 있는데 어떤 방향인가.
▲수시전형 시기가 9월부터여서 아이들의 3학년 2학기 수업이 상당히 파행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오히려 수시를 수능 이후로 빼달라는 요청도 있는 것 같은데, 그러면 수능이 앞당겨져야 하는 등 만만치 않다. 수능이 앞으로 당겨지면 또 그만큼 수업이 파행되기 때문이다. 이 부분도 결국 대학과 소통을 충분히 해야 할 것 같다. 이 부분은 해결해야 하는 중요 과제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 (정성훈 인재선발제도과장) 국교위 의결 주요 내용을 보면 수시, 정시 시기 조정은 2028대학입시제도 개편과는 무관하게 국가교육위원회 주도의 국가교육발전계획을 수립할 때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2028대입제도에 적용돼 발표되는 건 아니다.
-고교학점제도에서 '사회·과학 융합선택' 절대평가제 과목은 운영되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사회·과학 융합선택과목 9개에서 절대평가를 허용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고교학점제가 현장에서 정착하려면 절대평가가 중요하다. 일부 과목에 한해서라도 먼저 적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에 교육부가 화답한 것이다.
교육부가 (이와 관련) 많은 고민을 했고 국교위에서도 이런 고민이 있었던 걸로 안다. 9개 과목이 (절대평가제도로) 지나치게 남용 돼 너무 많은 학생들이 몰려 입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런 우려와 (절대평가)필요성 요구의 균형점을 찾아 균형점을 찾은 것이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