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사회학을 지나야 예술철학이 나온다-작가편' 개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다음 중 가장 잘 나가는 미술 작가는?
①전 세계 아트페어 일정이 5년간 30회 잡혀 있는 작가
②경매에서 작품 단일 신기록 경신 작가
③국내 메이저 갤러리 전속작가
④외국 비엔날레 한국 대표 작가
⑤본인 이름의 미술관이 있는 작가.
이는 김영규 작가의 작품 '전국 미술작가 모의평가 문제지 연습문제 Ⅱ'에 출제된 문제다. 김영규 작가는 고소득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연봉 1억' 이상의 미술 작가가 되기 위한 가상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설하고 도서 '연봉 1억 미술작가 되는 법'과 시험지를 만들었다. 이는 '청년작가'들이 처한 생계에 대한 고민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으로 서울대미술관에서 만날 수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김영규의 '연봉 1억 미술작가 되는 법' 설치작업 2023.06.26 89hklee@newspim.com |
전시장에는 김영규 작가가 '연봉 1억'을 벌 수 있는 가상의 온라인 영상들과 설치작품이 나왔다. 작품을 접한 '청년작가'들이 작가에게 개인 면담이나 스터디그룹 강연을 요청해왔다는 사실 또한 작품의 블랙 코미디적인 요소를 한층 부각시킨다.
위 문제는 전시 말미에 마주할 수 있다. 그가 집필한 책 '연봉 1억 미술작가 되는 법'(비매품)을 읽은 후 풀 수 있지만, 혹자는 이 책을 읽고도 쉽게 답을 내릴 수 없다고도 했다. 미술을 전공했다고 해서 유명한 작가가 단번에 될 수 없는 현실과 작가들이 겪고 있는 고민을 미술 작가의 철학을 담은 예술 언어로 나타난 결과다.
서울 관악구에 위치한 서울대미술관은 예술가들이 예술 언어로 사회적 가치와 현상을 이끌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 '예술사회학을 지나야 예술철학이 나온다-작가편'을 지난 23일 개막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대구 지역 작가들이 서울로 떠나가는 상황을 젠가로 담은 김민제의 작품 2023.06.26 89hklee@newspim.com |
심상용 서울대미술관장은 26일 열린 '예술사회학을 지나야 예술철학이 나온다-작가 편' 기자간담회에서 "우리가 사는 현실과 사회와 예술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봐야 하는 시점"이라며 "이 땅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인식하는 것이 인간의 모든 상황을 표현하는 첫 걸음"이라고 이번 전시를 소개했다.
이번 전시에는 김문기, 김민제, 김범, 김영규, 뀨르와 타르, 변상환, 실라스퐁, 이원호, 정정엽, 정해민, 주재환, 최성균, 함양아, 허보리 작가가 참여했다. 미술 시장 구조에 대한 통찰, 지역 미술가들의 고민, 미술 작가의 생계론, 일상 속 미술 등에 대한 이야기를 대중 친화적으로 작업한 작품들이다.
전시는 주재환 작가의 작품으로 친절하게 시작한다. '미술은 어렵다', '미술은 그들만의 리그다' 등의 선입견을 깨는 작품이다. 일상용품이나 텍스트, 혹은 농담과 같은 소재를 예술사적 맥락과 결합시키며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주재환 작가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품을 통해 우리 삶의 문제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킨다.
예를 들어 '책 패러디'라는 작품은 천원권 지폐를 액자에 붙여 놓고 "책이 죽어나가고 서점이 문을 닫았다. 내가 잘 아는 작가 한 분이 집에 있는 책을 들고 나와 천원짜리 한장을 얹어준다. 천원어치만 읽어달란다"라며 시작하는 작품이다. '천원'이라는 누구나 갖고 있는 지폐 한 장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 문을 닫게 되는 서점의 현실, 그리고 천원으로 빗댄 예술의 가치 등을 날카로우면서도 쉽게 풀어놓았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허보리 작가의 '42개이 봄조각' 2023.06.26 89hklee@newspim.com |
작가 허보리의 '42개의 봄조각'은 화려한 꽃밭을 연상시키는 아름다움 속에 미술의 본질적 의미를 잃어가는 현 미술 유통계에 대한 비판을 숨겨놓은 대형 조각 작품이다. 작가는 작품을 감상의 대상으로 여기기보다 실물을 갖지 못하는 주식이나 NFT 코인과 같은 '전체'가 아닌 '불완전한 부분'으로 거래되는 새로운 예술 유통방식에 대한 은유를 표했다.
허 작가는 대형 꽃밭 작업을 조각을 내 그렸다. 이중 판매된 조각 작품의 자리는 언제, 어떻게 얼마에 팔렸는지 텍스트로 기록한다. 갤러리에서 판매된 작품도 있고 이중에는 친오빠가 그냥 가져간 작품도 있다. 전시마다 그의 '42개 봄조각'의 모습은 달라진다.
허보리 작가는 "언젠가부터 그림은 '감상'의 대상이 아닌 '투자'의 수단이 됐다"며 "큰 그림을 살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사람만이 작품을 독점할 수 있고, 형편이 따라주지 않는 경우는 조각 투자를 하는데 이 경우는 온전한 작품을 소유할 수 없는 거다"고 바라봤다.
그러면서 "NFT, 미술품 분할 투자 등 다양한 방식의 투자가 생겨나면서 조각 작업을 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고, 이 미술품이 어떻게 흩어지는지 보고 싶었다"며 "언젠가 이 조각 그림의 전체를 다시 모으는게 꿈이다"라고 희망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정정엽 작가의 '나의 작업실 변천사(1985~2017)' 2023.06.26 89hklee@newspim.com |
정정엽 작가의 '나의 작업실 변천사(1985~2017)'를 통해서는 여성 미술가의 작업 인생을 시간순으로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작업이다. 시간 순서로 전시장 벽면에 일렬로 걸려있는 34점의 작품은 여자이자, 엄마이자, 미술 작가인 그의 작업사를 압축한 결과물이다. 엄마라면, 여자라면, 직업을 가진 여성이라면 마음을 울리는 그림과 기록들이다.
"아이가 태어남. 지역 탁아소에 아이를 맡기고 탁아소, 작업실, 인천지역미술 그룹 '갯꽃' 집으로, 동분서주" 그리고 "아이를 거실에 앉혀놓고 뒤돌아 작업. 한참 뒤 돌아보니 입속에 우물우물. 꺼내보니 카맣던 지우개 하얗게 변해있다"라고 적힌 글과 그림들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아이를 키우면서 사회 활동을 하며 나이 들어가고 견디고, 성장해 가는지 보여준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