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인터뷰] ⓛ'험지' 마포을 4번째 도전나선 김성동 "결전의 시간 다가와"

기사입력 : 2023년05월28일 07:00

최종수정 : 2023년05월28일 07:00

국민의힘 서울 마포을 당협위원장
"스스로와 싸움...당·동지들에 자책감 있어"
"단판승부 노려 덤빌 수 있는 곳 아니다"

[서울=뉴스핌] 김은지 기자 = 전직 국회의장 비서실장이자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성동 국민의힘 서울 마포을 당원협의회 위원장.

그는 내년 총선에서 '4전 1승'의 성적을 거둬야 하는 것에 대해 "당에 대한, 또 주변의 동지들에 대한 미안함과 자책감 이런 것들이 있지만, 이것을 뚫고 나간다는 의미에서 스스로와의 싸움 같다. 벼랑 끝에 서 있는 기분이다"라고 말했다.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한 사무실에서 만난 김 위원장은 "원외위원장들에게는 모든 시간이 절치부심(切齒腐心)과 와신상담(臥薪嘗膽)하는 시간"이라며 "정말 인내하며 기다리는 시간이다. 저에게 역시 결전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라고 힘줘 말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성동 국민의힘 서울 마포을 당협위원장. 2023.05.23 pangbin@newspim.com

김 위원장은 19~21대 총선에서 연달아 마포을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정청래 의원(19·21대), 손혜원 전 의원(20대)에 밀려 낙선했다. 보수정당이 16대 총선에서 박주천 전 의원, 18대 총선에서는 강용석 전 의원을 배출하면서, 한 때 마포을은 여야의 우위를 가리기 어려운 격전지로도 평가를 받았었다. 그러나 이후 더불어민주당에서 내리 3번의 금배지를 차지했고 지금은 '험지'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지역구가 됐다. 

김 위원장이 내년 총선 공천을 받을 경우 한 지역구에서만, 그것도 험지에서 무려 4번의 도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김 위원장에게 '마포을 지역구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부터 했다. 

김 위원장은 "사실 마포는 정치적과 이념적으로, 또 인구통계학적으로 지형을 살펴보면 정말 반(反) 국민의힘 정서가 강한 이른바 험지"라고 운을 뗐다. 이어 "아무나, 함부로 단판승부를 노리고 쉽게 덤벼들 수 있는 곳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재도전을 하는 그런 입장에서 가장 큰 싸움이 저 스스로와의 싸움이라는 것을 아주 절실히 느끼고 있다"면서 "비록 동토(凍土)지만 땀과 눈물을 흘리면서 정성을 다해서 일궈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근의 근황에 대해선 "최선을 다해서 지역을 관리하고 내년 선거를 준비하고 있다"라며 "코로나19 이후에 행사들도 많아지고 유권자들과 접촉할 수 있는 대면 기회가 많아져 아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라고 했다.

그는 좌절감과 부담감을 딛고 재도전을 하는 배경에 있어서는 "이전 선거, 그 이전 선거 다 경선을 통해서 후보가 됐다"라고 답했다. 김 위원장은 "공천심사위원회에서 후보를 선정하고 경선을 했다. 주민들께 감사한 것이 제가 아주 큰 격차로 후보가 됐다. 이번에도 그 정성을 생각해 끝까지 가야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사실 제가 오랜 시간 이렇게 구민들과 같이 하다 보니까 그런 점에서 좀 안타까워하는 분들도 있고 또 잘 됐으면 하고 성원해 주는 분들도 계신다"라며 "그래서 '정말 꼭 소중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이런 신념으로, 한결같이 이제 이 지역을 지켜왔다고 할 수가 있다"라고 했다. 

마포을 현역 의원은 정청래 민주당 의원이다. 정 의원은 이곳에서만 17·19·21대에 걸쳐 3선을 했다. 김 위원장은 내년 지역의 터줏대감인 정 의원과 재대결이 불가피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자신만의 차별점'이란 "통합과 치유의 정치를 한결같이 지향해 왔고 앞으로도 그러하겠다는 점"이라고 소개했다. 

김 위원장은 "정 의원하고 제가 이제 늘 지역에서 부딪힌다. 그분이 정치하는 것을 쭉 봐왔다. 정 의원의 스타일이 있기 때문에 '그 스타일에 강하게 대응하라' 이런 주문도 늘 받아오는데 그런 점에서 많이 고민을 해왔다"라면서도 "쉴 새 없이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키고, 또 자신을 선출해 준 유권자의 자존심을 손상시키는 손가락질 받는 노이즈 마케팅식의 정치는 종식해야 한다는 것이 제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치인은 흔히 다음 세대를 생각하지만 정치 정상배(政商輩)는 다음 선거만을 생각한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저는 자기의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서 무책임하게 상처를 헤집고 증오를 유발하고, 분열을 가중시키는 선동 정치를 배격해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라는 비판도 쏟아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성동 국민의힘 서울 마포을 당협위원장. 2023.05.23 pangbin@newspim.com

김 위원장은 마포을 지역구에서 해결해야 할 최대 현안으로는 '광역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 신설' 문제를 꼽기도 했다. 이 현안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의 당협위원장으로서는 상당히 마음의 부담이 되고 짐이 되는 그런 문제"라고 했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마포구 상암동에 새 소각장을 짓고 기존 시설을 2035년까지 철거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8월 새 광역자원회수시설 후보지로는 현재 상암동에 있는 소각장 부지가 선정됐다는 것이 김 위원장의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우리 땅에 계속해서 '기존의 여지가 있다. 또 이미 들어와 있었다'는 이유로 쓰레기를 계속 받으라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고, 또 마포구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그런 정책이라고 본다. 안타깝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쓰레기 신규 자원 회수,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 문제는 오랫동안 장기간 논의가 돼 왔던 것"이라며 "마포구민들의 희생과 아픔을 충분히 헤아려야 된다. 이걸 다른 행정처럼 시간에 쫓겨서 그렇게 서두르다가 돌이킬 수 없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원내에 다시 돌아올 수 있다면 하고 싶은 일'을 묻자 "국가 공동체의 생존 필수 시설을 건립하는데 있어 정책적인 정당성, 주민의 수용성 이것을 동시에 충족시켜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제도·법적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생각이 강해지고 있다"라고 답했다. 

국가 공동체 생존 필수 시설과 관련해서는 "일방적인 입지 선정이 아니라 시설의 '유치'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다"라는 설명도 이어갔다. 이와 함께 "현안에 밀려 뒷전으로 놓여있는 국가적인 어젠다와 미래 의제를 제기하고 공론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싶다"라고 했다.

뿐만 아니라 김 위원장은 "통일의 문제가 있다"라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당에서 두 번의 통일위원장도 역임하고 현재도 남북의료협력재단 부이사장을 맡고 있다"면서 "북핵 시대에 있어서 남북 통일에 관한 그런 문제, 이것이 시기를 자꾸 넘겨가면 넘겨갈수록 요원해지고 고착화된다는 생각이 든다"라는 진단을 내놨다.

그는 "남북관계를 해결할 단초를 만들어낼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그것에 대한 모색을 하고 싶다"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성동 국민의힘 서울 마포을 당협위원장. 2023.05.23 pangbin@newspim.com

kimej@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