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입력 : 2022년11월24일 17:20
최종수정 : 2022년11월24일 17:20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 TF을 가동, 대응방안이 마련된다.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우선순위를 초격차 스타트업에 두는 등 자금 지원 대책이 내달 중 발표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서울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대회의실에서 2022년 '제2차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 |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서울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2년 '제2차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2.11.24 biggerthanseoul@newspim.com |
이날 금융지원위원회에는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윤종원 IBK기업은행장, 권준학 NH농협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과 중소기업중앙회, 벤처기업협회 등 중소벤처기업 관련 협·단체장,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정책금융기관장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애로 대응방향'과 '고금리 극복 금융지원책 마련'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중기부는 우선 중소기업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방안을 수립 계획을 내놨다. 지난 6월 말부터 중기부와 유관기관 중심으로 운영하던 '기업리스크 대응 TF'를 이달부터는 '3고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 TF'로 확대 개편해 외부 연구기관, 민간전문가 등도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기부는 3고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 TF를 통해 발굴된 과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정책금융을 통해 적재적소에 유동성을 공급할 대책도 발표된다. 고금리에 더해 환율변동, 원자재값 상승 등 이중고를 겪는 기업에게 우선적으로 긴급 자급을 공급하고,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우선순위를 초격차 스타트업 등 혁신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데 둘 예정이다. 중기부는 관련 대책을 내달 중 내놓는다.
금융권 관계기관과 시스템·데이터·정책자원을 연계해 부실위험 기업에 대한 사전 대응체계도 강화한다. 부실위험에 빠져있으나 경영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공급, 컨설팅 등 중소벤처기업부의 위기기업 지원정책과 금융권의 채무조정제도를 연계해 신속한 회복을 돕는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급격한 금리상승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금융리스크 대응에 협조해야 한다"며 "이번 금융지원위원회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어려운 여건을 이겨나갈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모으는 자리가 되고, 참석한 정책금융기관과 시중은행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버팀목이 되어줄 것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