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이후 상장폐지 기업 증가 추세
관리종목 지정, 자본잠식 등 사전 징후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국내 증시에서 상장폐지 하는 기업이 2019년 이후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상장폐지를 앞둔 기업들이 사전 징후를 보이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도 면밀하게 공시 사항을 분석할 것을 당부했다.
2일 금융감독원은 상장폐지 기업은 2019년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에는 4개 기업이 상장폐지했고, 2020년에는 15개, 2021년에는 20개 기업이 증시에서 퇴출됐다. 올해는 6월 말 기준 9개 기업이 증시를 떠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기업경영 환경 악화가 지속되면서 자금조달의 어려움과 함께 일부 한계기업의 상장폐지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현명한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최근 상장폐지된 기업들의 현황과 재무적·비재무적 특징을 분석했다"고 말했다.
연도별 상장폐지 현황 [사진=금융감독원] |
먼저 상장폐지 기업들은 앞서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손실 확대, 자본잠식 기업수 증가 등의 특징을 보였다.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손실 규모가 상장폐지 5년 전 25.2% 규모였다면, 1년 전에는 107.5% 규모로 증폭됐다. 자본잠식 기업도 상장폐지일 기준 5년 전엔 8개사, 1년 전엔 43개사 수준으로 확대됐다.
영업악화로 지속적인 손실을 내면서도 타법인주식·채권·대여금 등 자산 관련 대규모 손상·대손·평가손실 등의 비용도 증가했다. 자본잠식 심화를 모면하기 위해 유상증자 등 대규모 자본확충을 시도하지만, 경영·재무상 악화로 자금조달 능력이 저하되고 투자가 위축되며 규모는 축소되는 식이다.
자금조달 방식도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가 있는 공모 방식 대신, 사모 또는 소액 공모 방식으로 주로 발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장폐지연도에 근접할수록 인수자와의 협의 무산, 청약·납입 미달 등에 따라 증권 발행을 시도하다 발행이 무산된 사례가 늘어났다.
비재무적인 특성으로는 최대주주변경 공시가 증가했다. 이는 기업의 경영안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이다. 한국거래소에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경우도 빈번했다. 기업의 인력·조직과 내부통제 부실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감원은 최근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상장기업들이 자금조달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투자자들의 현명한 투자판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상장폐지 사유 현황과 추세를 고려하면 상장기업의 단순 외형상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회계·경영투명성에 대해서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투자자들께서는 상장기업이 금융감독원(DART) 및 한국거래소(KIND)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한 사항 등을 면밀히 살펴봐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