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연기금 삼성 등 10개 기업에 서한
"애플은 탄소중립 선언...RE100 가입하기도"
"탄소감축 나설 환경부터 점검해야" 토로
[서울=뉴스핌] 임성봉 기자 = 미국과 유럽 등 국제사회가 탄소규제를 대폭 강화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적잖은 압박을 느끼고 있다. 당장 각국이 탄소국경세를 징수하는 법안을 속속 발의하면서 주요수출기업들에 대한 타격이 예상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최대 연기금인 네덜란드 연금자산운용(APG)은 전날 국내 기업 10곳에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을 받은 국내 기업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현대제철 ▲SK주식회사 ▲SK하이닉스 ▲LG화학 ▲LG디스플레이 ▲롯데케미칼 ▲포스코케미칼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이다.
지난 16일 유럽 최대 연기금인 네덜란드 연금자산운용(APG)이 국내 10개 기업에 탄소감축에 동참하라는 서신을 발송했다는 내용의 안내문 [캡쳐=APG 홈페이지] |
APG는 해당 서한에서 지난 2020년 기준 애플의 매출액 대비 탄소배출량이 0.3%인데 반해 삼성전자는 8.7%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애플은 오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RE100에도 가입했지만, 삼성전자는 RE100 가입도 탄소중립 선언도 하지 않았다고 짚었다. 이는 APG가 사실상 삼성전자에 RE100 가입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략량 100%를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국제 캠페인이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SK그룹 계열사 8곳 등 총 14곳이 가입돼 있다.
APG는 해당 10개사의 다른 주주 기관투자가들과도 연계해 이들에 대한 '주주관여'를 이어나간다는 방침도 밝혔다. .
거대 연기금이 나서 국내 기업들에 탄소감축 압박을 본격화 한 가운데 미국과 유럽이 탄소국경세를 도입도 속도를 내고 있어 기업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RE100 가입 등 탄소감축에 적극 동참하자니 경쟁력을 잃을 수 있고, 이를 외면하기에는 국제적 압박이 점차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유럽연합(EU)은 오는 2023년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도입해 3년 동안 수입품의 탄소배출량 보고만 받은 뒤, 2026년부터는 탄소국경세를 징수한다는 계획이다. 탄소국경세는 탄소배출 규제가 약한 국가, 탄소배출이 많은 국가의 수출품에 대해 부과하는 수입관세다.
아울러 미국 의회는 오는 2024년부터 화석연료, 알루미늄, 철강, 시멘트에 우선적으로 탄소국경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무역정책 의제'를 발표하고 EU의 CBAM과 유사한 국경탄소조정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탄소국경세가 시행됐을 때를 가정한 국내 기업들의 영향도 비관적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7월 발표한 조사통계월보를 살펴보면, 유럽과 미국이 탄소국경세를 실시했을 때 한국의 연간 수출은 EU에서 32억달러(한화 약 3조8262억원), 미국에서 39억달러(4조6632억원) 각각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EU와 미국이 모든 수입품에 대해 톤당 50달러 수준의 탄소국경세를 부과한다는 가정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다. 탄소국경세가 이보다 더 높게 책정된다면 영향 규모는 더 커진다.
다만 국내 기업들은 탄소감축이라는 흐름에는 동참해야 하지만 실질적인 기반은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나섰다간 적잖은 타격을 피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철강·조선 업계는 산업 특성상 전력 소비량이 만만치 않은데 이를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업계 안팎의 목소리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탄소감축은 개별 기업의 노력으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적 인프라나 각종 규제 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며 "지금은 단순히 RE100에 가입하느냐 여부를 따지는 것 보다는 기업들이 적극 탄소감축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느냐를 점검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imb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