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홍콩증시 오전장 요약] 인프라·전력株 강세 주도, 항셍지수 1.01%↑

기사입력 : 2021년12월13일 14:26

최종수정 : 2021년12월13일 14:27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홍콩항셍지수 24238.13 (+242.41, +1.01%)
국유기업지수 8659.24 (+80.91, +0.94%)
항셍테크지수 6115.48 (+80.25, +1.33%)

[서울=뉴스핌] 구나현 기자 = 13일 홍콩 증시의 3대 지수는 오전 상승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1% 상승한 24238.13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0.94% 오른 8659.24 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1.33% 뛴 6115.48포인트를 기록했다.

섹터별로는 인프라, 시멘트, 전력 섹터가 강세를 주도했다. 이외에도 중장비, 온라인 의료, 태양광, 석탄, 증권, 철강 등이 상승 흐름을 보였다. 반면 헝다 계열사, 엔터테인먼트, 부동산, 담배 테마주가 약세를 연출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홍콩항셍지수 12월 13일 오전 장 주가 추이

◆ 상승섹터: 인프라, 시멘트, 전력

(1) 인프라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한 경제 성장 동력 확보를 강조한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한원슈(韓文秀) 중앙재정위원회판공실(中央財經委員會辦公室) 부주임은 지난 10일 폐막한 중앙경제공작회의의 결과를 설명하며 적절히 앞당겨 인프라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염 저감, 탄소 배출 감소, 신에너지, 신기술, 신산업 등과 관련한 클러스터 구축에 투자를 확대하여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특징주:

시노트럭(中國重汽·3808): 13.160 (+2.420, +22.53%)
중연중공업(中聯重科·1157): 5.720 (+0.510, +9.79%)
중국건설국제(中國建築國際·3311): 9.200 (+0.560, +6.48%)

(2) 시멘트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지난 8~10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당국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한 지출 확대로 인프라 투자를 앞당길 것이라고 언급하자 시멘트 수요량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섹터 상승을 이끌었다.

중금공사는 올해 저평가된 시멘트 섹터가 내년 중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로 재평가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관련 특징주:

해라시멘트(海螺水泥·0914): 40.700 (+2.300, +5.99%)
화룬시멘트(華潤水泥控股·1313): 6.300 (+0.300, +5.00%)
중국건축자재(中國建材·3323): 9.740 (+0.610, +6.68%)

(3) 전력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재생가능에너지를 '에너지 소비에 대한 이중 통제'에 포함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자 녹색 전력 활성화에 따른 전력시장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에너지 소비에 대한 이중 통제'는 중국 정부가 연초 계획에 따라 각 지방 정부의 에너지 소비 총량과 소비 강도를 동시에 관리하는 제도다.

중국 당국은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재생가능에너지와 연료용 에너지를 '에너지 소비에 대한 이중 통제'에 포함시키지 않을 것"이며 "대기업과 국영기업이 앞장서서 에너지 가격 안정과 안정적인 공급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 특징주:

화룬전력(華潤電力·0836): 26.050 (+1.800, +7.42%)
용원전력(龍源電力·0916): 18.020 (+0.840, +4.89%)
대당그룹신에너지(大唐新能源·1798): 3.200 (+0.210, +7.02%)

◆ 하락섹터: 헝다 테마주

(1) 헝다 테마주

▷하락 자극 재료 및 이유:

대주주의 지분 매각이 악재로 작용했다.

홍콩거래소는 헝다 그룹 최대 주주인 쉬자인(許家印) 회장이 지난 6~9일 헝다그룹 주식 2억 7780만 주를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쉬자인 회장의 헝다그룹 보유지분은 61.88%에서 59.78%로 줄어들었다.

▷관련 특징주:

에버그란데 프로퍼티 서비시스 그룹(恒大物業·6666): 3.380 (-0.130, -3.70%)
중국헝다그룹(中國恒大·3333): 1.720 (-0.050, -2.82%)
헝다뉴에너지자동차(恒大汽車·0708): 3.030 (-0.070, -2.26%)

gu1218@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무원 당직제' 76년만에 전면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1949년 도입된 공무원 당직 제도가 76년만에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 등 도입 여부에 따라 재택당직을 적극 도입하고, 인공지능(AI) 민원응대 시스템도 도입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AI 당직 민원 시스템을 통한 신속한 민원응대가 이번 개정안의 핵심이다. 이번 개정안은 크게 재택당직 확대, 상황실 중심 당직 전환, 통합당직 운영, 인공지능 민원응대 도입 및 소규모 기관 당직 감축 등 4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지방자치단체 당직근무 유형 예시[제공=인사혁신처] 우선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통신체계가 마련된 기관의 경우, 인사처나 행정안전부와의 사전 협의 절차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2~3시간이었던 사무실 대기시간은 1시간으로 단축된다. 외교부, 법무부 등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는 기관은 기존 당직실 대신 상황실에서 당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당직 부담이 큰 기관은 인력 보강이나 인원 조정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 청사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여러 기관은 협의를 통해 당직 운영을 '통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 내 8개 기관이 각각 1명씩 당직을 서던 기존 방식 대신, 앞으로는 3명의 통합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야간이나 휴일에 전화 민원이 빈번한 기관에는 AI 당직 민원 시스템이 도입된다.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연계하고, 화재나 범죄는 119·112 신고로 연결된다. 긴급 사안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 기관의 일반 당직이 폐지되면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처는 연간 약 169억~178억원 규모의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356만 근무시간이 추가 확보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당직 제도는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공직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실태조사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만큼, 공무원들이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국민에게 보다 질 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11-24 12:00
사진
카카오톡 '친구탭'-목록형 중 택일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카카오톡의 대표 기능 중 하나인 '친구탭'이 다음 달부터 기존의 목록형 방식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달 정식 업데이트에서 두 가지 UI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현재 적용돼 있는 소셜미디어형 친구탭과, 기존처럼 단순하게 친구 목록만 표시되는 목록형 UI 중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9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컨퍼런스 현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기조연설을 통해 카카오톡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당초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달 안에 기존 UI 복구를 마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카카오는 안정성 확보 및 일부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업데이트 시점을 한 달가량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친구탭 개편은 지난 9월 23일 열린 개발자 행사 '이프 카카오(if(kakao)25)'에서 공식 공개됐다. 당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프로필이 단순한 정보 표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아내는 형태로 확장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향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개편 직후 사용자 불만이 급격히 늘었다. 피드 형식의 화면이 메신저 본래 기능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과 함께 광고 노출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로 개편 이후 카카오톡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이용자 평점이 1점대까지 떨어지는 등 서비스 신뢰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용자 불만이 이어지자 카카오는 결국 연내에 기존 UI를 되돌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이달 7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하며 기존 방향 수정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내 목록형 친구탭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계속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 2025-11-23 14:21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