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12/6 중국증시종합] 하락 마감, 담배·관광株 약세

기사입력 : 2021년12월06일 17:02

최종수정 : 2021년12월06일 17:09

상하이종합 3600선 하회, 창업판 2.09%↓
담배·관광·반도체 등 약세
상하이·선전 거래액 32거래일째 1조 위안선

상하이종합지수 3589.31 (-18.12, -0.5%)

선전성분지수 14752.96 (-139.09, -0.93%)

창업판지수 3405.93 (-72.74, -2.09%)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6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5% 내린 3589.31포인트를 기록하며 다시 36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선전성분지수도 0.93% 하락한 14752.96포인트를, 창업판지수도 2.09% 떨어진 3405.93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1조 2036억 위안으로 지난 10월 22일부터 32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돌파했다.

해외자금은 유입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3억 95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2월 6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섹터 중에서는 담배 섹터가 눈에 띄는 하락세를 보이며 약세를 주도했다. 대표적으로 경가그룹(勁嘉股份·002191)이 6% 이상, 동풍인쇄(东风股份·601515)가 4% 이상, 향익융통(香溢融通·600830)이 2% 가까이 하락 마감했다.

앞서 담배 섹터가 크게 급등한 데 따른 피로감으로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증국 증권정보 플랫폼 윈드(wind)에 따르면, 감독관리 정책 구체화에 따른 전자담배 업계의 건강한 발전에 대한 기대감에 전자담배섹터 지수가 올해 저점 수준인 1482.23포인트에서 1개월 새 1871.44포인트로 급등했다.

중신증권 등 기관들은 전자담배 업계가 합법적 감독관리 시대에 접어들었다며 업계 규범화 조치가 강화됨에 따라 기술과 연구개발, 고객 확보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스모어 인터내셔널 홀딩스(06969.HK) 등 업계 선두기업이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관광지·여행 관련 종목의 하락세도 눈에 띄었다. 관광주 가운데 중신관광(眾信旅遊·002707)이 7% 가까이, 카이싸관광(凱撒旅業·000796)이 4% 가까이 급락 마감했고 곡강문여(曲江文旅·600706)도 2% 가까운 하락폭을 기록하며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19 신종 변이 오미크론 확산이 이제 막 회복 기미를 보이기 시작한 관광업계에 찬물을 끼얹었다. 

퉁화순재경(同花順財經)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5일 밤(현지시간) 전염병 확산 등 불확실성 리스크 증대로 중신관광과 카이싸관광의 합병이 중단됐다는 소식과 더불어 면세점 대장주 중국중면(中國中免·601888·차이나 인터내셔널 트레블 서비스)도 홍콩 증시 상장을 잠정 중단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해당 섹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외에도 반도체, 자동차, 농업, 제약 등 섹터와 소비전자, 리튬배터리 테마주 등도 약세를 연출했다.

반면 녹색전력 테마주는 두드러진 강세를 나타냈다. 대표적으로 화전국제전력(華電國際·600027), 화전중장비(華電重工·601226) 등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고 보려화신에너지(寶新能源·000690)가 9% 이상, 억리에너지(億利潔能·600277)가 8% 이상 급등 마감했다.

지난 3일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에너지 소비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14차 5개년(2021~2025년) 산업 녹색발전 계획(이하 계획)'을 발표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해당 계획을 통해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산업 구조 및 생산 방식의 녹색 저탄소 전환과 관련해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 녹색 저탄소 기술 설비 응용 확대 △ 에너지 자원 이용 효율 대폭 향상 △ 친환경 제조 수준 전면 제고를 통해 2030년 산업 분야의 탄소배출 피크 도달을 위한 견실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희토류 영구자석 섹터의 상승세로 돋보였다. 관련 종목 가운데 중국알루미늄(601600)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회점동자(橫店東磁·002056)가 8% 가까이, 오광희토류(五礦稀土·000831)가 2% 넘게 오르며 거래를 마쳤다.

희토류 가격이 계속해서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해당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신증권(國信證券)은 해외 희토류 광산이 단기간내 공급을 확대하기 어렵고 중국 내에서도 희토류 채굴에 대한 당국의 감독관리가 엄격해 공급이 제한적인 반면, 수요는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을 희토류 가격 상승의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전기차,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급격한 성장이 핵심 원료로 쓰이는 희토류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견인하며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으로, 희토류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외에도 보험, 은행, 증권 등 섹터가 상승세를 보였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사진
서울대병원교수 집단 휴진...수술장 가동률 '62.7%→33.5%'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17일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산하 4개 병원(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들어간다. 의료계에 따르면 해당 병원 교수 중 절반이 넘는 529명(54.7%)이 무기한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은 33.5%만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날부터 22일 사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에 나선 교수는 529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개 임상과 전체가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수술장 가동율은 현재 62.7%에서 33.5%로 감소할 전망이다. 비대위 및 병원 집행부는 지난 16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면담을 진행했으나 별다른 해결책은 나오지 않았다. 복지위 야당 간사인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비대위는 의정갈등 해결에 복지위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비대위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조치 취소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의대 정원 관련 의료계와 논의 진행 등 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대한의사협회도 같은 날 3개 요구안(▲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정부의 일방적인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사법 처리 위협 중단)을 정부에 제출하며 대화를 촉구했으나, 정부는 "의협이 불법적인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부에게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이를 거절했다. 이에 따라 오는 18일 전체 의료계의 전면 휴진을 비롯한 총궐기대회가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한편 서울대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소속 교수들도 오는 27일부터 응급·중증환자 진료를 제외한 무기한 휴진에 돌입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삼성서울병원 등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무기한 휴진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의대 교수들도 추가 휴진 여부를 논의 중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calebcao@newspim.com 2024-06-17 07:2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