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리스크가 신흥국 외국인 이탈로 이어질 수 있는 점은 유의
[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중국 증시가 '규제 쇼크'로 인해 급락세를 보이면서 국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고 판단, 그 여파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중국 시장에서의 불안감 확산은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 이탈을 불러올 수 있기에 외국인 수급 동향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8일 코스피는 오후 2시 10분 현재 전날보다 14.67포인트(0.45%) 내린 3217.86을 기록하며 약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증시 급락에 따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앞서 중국 증시는 규제 이슈로 인해 지난 26일과 27일 큰 폭으로 하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26일 2.34%, 27일 2.49% 떨어지며 지난 3월 25일 연저점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항셍지수는 같은 기간 각각 4.13%, 4.22%의 낙폭을 보였고, 선전성분지수도 각각 2.49%, 3.67% 밀려났다.
김선영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 당국의 사교육 규제안이 도화선으로 작용했다"며 "전체 상하이 증시 시가총액에서 교육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0.13%에 불과하나, 이번 규제가 예상보다 강도가 높아 플랫폼 산업, 부동산 산업 등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투매를 불러왔다"고 설명했다.
[자료=셔터스톡] |
중국 증시가 가파르게 떨어진 지난 이틀, 국내 증시에서는 코스피가 26일 0.91% 빠졌다가 27일 0.24% 오르며 반등에 성공했다.
하이투자증권은 이와 관련,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가 중국 관련 리스크에 따라 상승폭을 반납했지만, 낙폭은 제한되는 모습"이라며 "(앞으로도) 중국발 낙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것"이라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 역시 중국의 규제 정책에 대해 지나친 우려를 경계하는 입장이다. 박인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 하락 배경을 세 가지로 요약하면, 부동산 버블 통제 스탠스 재확인, 사교육 산업에 대한 규제 지속, 미·중 회담의 긴장 분위기다"라며 "시장의 중국 정책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된다. 중국정부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규제는 2020년 8월부터 이미 시작됐고, 6월 부동산 판매면적 증가율이 둔화세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견조한 펀더멘탈에 기반한 시장 반등이 시현될 것"이라며 "최근 한층 완화된 통화 정책 스탠스 감지와 더불어 하반기 중 경기 모멘텀 둔화 시 특수채 발행 가속화를 비롯한 재정 부양도 기대할 수 있다. 미·중 무역 갈등과 더불어 IT분야에서의 대 중국 제재가 꾸준히 진행돼 왔음에도 중국의 대미 수출이 양호하며, 중국의 반도체 자체 기술 역량과 국산화율의 제고가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당장의 여파는 크지 않을 것이라 해도 안심하긴 이르다. 중국 경제에 대한 신뢰도 하락은 주변 다른 신흥국들에게도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한 가지 고려해야 할 리스크는 국내 증시에서의 외국인 매도"라며 "중국 금융시장 불안, 중국 기업들에 대한 글로벌 펀드들의 신뢰성 하락은 위안화 약세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화 동반 약세 및 신흥국 패시브 자금에서의 자금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외국인은 지난 26일 코스피시장에서 3754억 원어치 순매도했다. 이튿날인 27일엔 429억 순매수로 돌아섰지만, 이날 현재 다시 5143억 원어치 팔아치우고 있다.
홍록기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당국의 규제가 예상보다 범위도 넓고, 강도도 높아 단기적으로 낙폭이 추가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면서 "플랫폼, 사교육 기업 규제에 이어 부동산 규제까지 부각되고 있는데, 이는 경기 하강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