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7/23 홍콩증시종합] 온라인교육株 폭락, 헝다∙기술株 약세전환 속 '하락'

기사입력 : 2021년07월23일 18:17

최종수정 : 2021년07월23일 18:17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23일 오후 6시1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항셍지수 27321.98(-401.86, -1.45%)
국유기업지수 9839.05(-167.52, -1.67%)
항셍테크지수 7268.14(-221.99, -2.96%)

* 금일 특징주

뉴오리엔탈 에듀케이션&테크놀로지그룹(9901.HK) : 30.3(-20.65, -40.61%)
리닝(2331.HK) : 83.85(-7.55, -8.26%)
항등네트워크(0136.HK) : 3.73(-0.57, -13.26%)
콰이서우(1024.HK) : 129.5(-15.6, -10.75%)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23일 홍콩증시를 대표하는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5% 하락한 27321.98포인트로,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1.67% 떨어진 9839.05포인트로,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2.96% 내린 7268.14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섹터별로는 온라인교육과 스포츠용품 종목들이 큰 낙폭을 기록했다. 여기에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그룹 계열사 종목들과 항셍테크지수에 속한 중국 대형 과학기술주들이 전 거래일 기록한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하루 만에 하락 전환됐다. 반면, 증권과 자동차 섹터가 강세 흐름을 연출했다.

이날 온라인교육 섹터 대표 종목들이 무더기로 폭락했다.

대표적으로 뉴오리엔탈 에듀케이션&테크놀로지그룹(신동방 9901.HK)이 40.61%, 스칼라교육(1769.HK)이 28.53%, 쿠런테크놀러지(신동방온라인 1797.HK)가 28.07%, 베스트스터디교육그룹(3978.HK)이 21.48%, 천립교육국제홀딩스(1773.HK)가 11.68%, 중국동방교육홀딩스(0667.HK)가 8.04%, 예견교육(6068.HK)이 5.58%, 우화교육(6169.HK)이 5.13%의 큰 낙폭을 기록했다. 그 중 온라인교육 섹터 대장주 신동방은 이날 단일 기준으로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중국 당국의 사교육 규제가 본격화된 것이 이날 온라인교육 섹터의 급락세를 이끌었다.

중앙전면개혁심화위원회는 21일 '제19차 회의'를 열고 '의무교육 단계 학업 부담 및 사교육 부담 경감에 관한 의견'을 통과시켰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해당 정책을 통해 역대 최고로 엄격한 수준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 관리감독 규제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 텐센트증권] 23일 홍콩항셍지수 주가 추이

스포츠용품 섹터에서는 리닝(2331.HK)이 8.26%, 특보국제(1368.HK)가 7.04%, 동향그룹(3818.HK)이 5.98%, 안타스포츠(2020.HK)가 4.55% 하락했다.

올해 상반기 애국소비 열풍에 힘입어 눈에 띄는 매출을 기록했던 국산 스포츠용품 브랜드의 성장세 둔화 전망이 이날 주가를 끌어내린 주된 배경이 됐다.

크레디트 스위스그룹 아게(Credit Suisse Group AG)는 최신 보고서에서 올해 3분기 들어 국산스포츠용품 브랜드의 성장세가 둔화됐다면서, 4분기 들어서야 판매량 상승의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광저우(廣州) 소재의 한 스포츠용품 판매상의 발언을 인용해 6월과 7월 애국소비 열풍 효과가 사라지면서, 국산브랜드와 외국브랜드의 판매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고 전했다.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유명 브랜드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프로모션 활동을 벌이면서 해당 외국브랜드 제품의 7월 주문량은 15% 이상 늘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전날 급등세를 기록한 헝다그룹 계열사 종목들은 하루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항등네트워크(0136.HK)가 13.26%, 헝다뉴에너지자동차(0708.HK)가 10.45%, 중국헝다그룹(3333.HK)이 7.04%, 에버그란데 프로퍼티 서비시스 그룹(6666.HK)은 5.19%의 낙폭을 기록했다.

전날 광발은행(廣發銀行)과 헝다그룹이 극적인 화해를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한 합의점을 마련하고 장기적인 합작관계를 재확인했다는 내용의 공식성명을 발표하면서 헝다그룹과 계열사 주가는 급등했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재확인된 헝다그룹의 악화된 재무건전성과 이에 따른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날도 주가는 크게 하락했다.

헝다 사태는 일파만파로 확대되면서, 헝다의 디폴트 가능성을 우려한 일부 은행들은 헝다그룹의 자금줄 조이기에 착수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HSBC, 중국은행(홍콩), 항셍은행, 동아시아은행(BEA), 스탠다드차타드, 공상은행(아시아) 등 6개 은행은 홍콩 투엔문 소재 '에머랄드 베이'와 청샤완 소재 '버텍스' 등 헝다그룹이 진행중인 2건에 프로젝트에 대한 재심사를 통해 미준공 매물에 대한 신규 모기지(주택담보대출)를 중단하기로 했다.

항셍테크지수 구성종목을 비롯한 중국 대형 과학기술주 또한 하루 만에 대거 하락세로 전환됐다.

대표적으로 콰이서우(1024.HK)가 10.75%, 빌리빌리(9626.HK)가 9.14%, 미맹그룹(2013.HK)이 5.89%, ZTE통신(0763.HK)이 4.44%, 화훙반도체(1347.HK)가 3.38%, 알리바바건강정보기술(0241.HK)이 3.31%, 샤오미(1810.HK)가 2.95%, 메이퇀(3690.HK)이 2.36%, 바이두(9888.HK)가 2.05%, 제이디닷컴(징둥 9618.HK)이 1.83%, 중신국제집성전로제조(0981.HK)가 1.79%, 알리바바(9988.HK)가 1.06% 하락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