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종서 기자 = 미디어 환경이 이용자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미디어혁신특별위원회는 네이버·다음 등 주요 포털의 초기 화면에서 노출되는 언론사 기사를 이용자가 스스로 정하도록 하는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박종서 디지털뉴스부 차장 |
기존 알고리즘으로 선정됐던 주요 언론사 기사 위주의 뉴스 화면은 향후에는 이용자가 선호하는 언론사 및 기자 위주로 노출된다. 결국 포털사이트의 뉴스편집권을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한 것이다.
'포털 길들이기' '언론 자유 침해' 등 여러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이대로 입법절차가 진행된다면 이용자 중심으로 뉴스소비 방식이 바뀌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사실 이같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용자들에게 뉴스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한 노력은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만든 뉴스캐스트를 뉴스스탠드로 바꾼 20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사 제목을 우선 노출하는 뉴스캐스트는 당시 '낚시성 제목'과 자극적인 기사내용으로 언론사간 불필요한 경쟁을 불러 일으켰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따라 뉴스스탠드로의 변화를 통해 기사 제목을 노출하는 대신 언론사를 먼저 보여줘 사용자가 선택한 언론사의 기사를 읽도록 했다. 언론사 로고를 클릭하면 '뷰어' 창이 열리면서 언론사가 편집한 기사들이 등장하는 방식이다.
또 올해 2월에는 네이버에서 16년여간 운영해오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가 폐지됐다. 포털사이트 다음은 이보다 1 년 앞서 지난해 2월 실검 게재 중단을 결정했다.
과거에는 실검 순위에 오른 키워드만 클릭하면 바로 관련기사를 통해 이슈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정치·경제·사회·연예·스포츠 등 각 분야의 핵심 내용도 쉽게 파악하기 힘들어졌다. 이용자들의 '능동적인 검색기능 활용' 이라는 네이버의 실검 폐지 이유처럼 결국 이용자들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이 중요해진 것이다.
이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맞춰 언론과 뉴스 이용자 모두 생각과 행동에 변화를 줘야 한다.
우선 언론사는 포털에 의존하지 않고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더 이상 포털에 노출된 기사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선택받으려 해선 안 된다. 직접 언론사를 찾아와 기사를 보는 '진성' 구독자를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 즉, 끊임없이 알찬 뉴스를 공급해 구독자들의 신뢰를 쌓는 게 중요하다.
이용자들도 바뀌어야 한다. 최근 실검 폐지와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낚시성 제목과 가짜뉴스가 활개를 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포털과 더불어 대세로 자리잡은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에서도 자극적인 제목을 앞세운 가짜 뉴스가 난무하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됐던 한강 실종 대학생 사건만 봐도 그렇다. 사망 경위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으면서 언론을 비롯해 유튜브에선 유례없이 많은 보도가 나왔다. 특히 '친구 A씨가 손씨를 업고 가는 장면이 CCTV에 찍혔다', '서울경찰청장의 아들이 사건에 연루돼 있다' 등과 같은 확인되지 않은 가짜 뉴스들이 쏟아졌다. 자칫 가짜 뉴스는 특정인에게 큰 피해나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자극적인 제목과 가짜 뉴스에 현혹돼선 안 된다. 이용자 스스로 뉴스 선별 능력을 길러야 한다. 포털을 비롯해 언론, 이용자 세 주체가 함께 올바른 '뉴스 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기 바란다.
js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