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교육 존재감·필요성 높아졌지만 수준은 아직
미국·영국 등은 AI 통해 '완전 개인화' 수업 제공
아직 멀었지만, 한국 AI교육 시장 크게 성장할 것
[편집자주]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부분을 바꿔놨는데, '교육업계'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전국 초중고의 '온라인 개학과 비대면 수업', 이로 인한 '학습 공백' 등 처음 겪는 상황에 많은 학생과 학부모, 교육업계가 당황해 했습니다. 이에 교육업계는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에듀테크'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합니다.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나 향후 또 다른 교육시스템의 가능성도 엿보이는 게 사실입니다. 이에 변화의 물결 속에 있는 교육업계 AI학습의 현주소를 세 차례에 걸쳐 중간 점검키로 했습니다.
<순서>
①'AI 빅데이터 강점' 웅징씽크빅 '오답노트' 살펴보니
② 후발 다크호스 '교원' vs 걸음마 '대교'
③ 앞서간 해외 AI교육 현장, 한국은?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2020년은 AI(인공지능)교육의 존재감과 필요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커진 해다. 코로나19로 비대면 교육이 갑작스레 시행되면서 학습공백기에도 '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AI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이 같은 흐름을 감지한 교육업계는 앞다퉈서 AI교육 콘텐츠를 출시했다. 하지만, 사실 국내 AI교육 수준은 높지 않다. 학생이 틀리거나 모르는 문제를 찾아주고 패턴을 분석해 문제를 더 내는 것에 그친다. 초등교육 BIG3 기업조차도 교육명칭과 콘셉트만 조금씩 다를 뿐, 제공하는 AI교육 수준은 사실 서로 엇비슷하다.
반면 해외 AI교육은 한국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다. 단적인 예로 현재 한국 AI교육은 미국과 영국의 2018년도 AI교육 수준에도 못 미친다. 당시에 이미 미국과 영국은 AI가 교사와 학생 간에 커뮤니케이션까지 유도하는 등 더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한국의 AI교육은 아직 걸음마 수준인 셈. 2020년 대한민국 AI교육의 현주소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4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인공지능 대학원 심포지엄 및 협의회 출범식이 열리고 있다. 2020.12.04 yooksa@newspim.com |
그렇다면 해외는 AI교육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영국과 미국 그리고 핀란드와 같이 고도화된 AI교육을 보유한 국가는 학교에서 AI교육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국가가 주도하고 민간에서 AI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공공과 민간 기업이 협력했다.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학습 데이터'를 함께 모으다보니 AI교육이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2016년부터 AI 서비스를 도입한 영국의 'Third Space Learning'이다. 민간 기업인 Third Space Learning은 1200곳이 넘는 영국 초등학교에 AI를 조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인간 교사가 강의를 하는 동안 'AI 교사'가 학생의 학습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특이한 시스템이다. 이를테면 학생이 일정시간 답변을 하지 않으면 AI 교사는 자동으로 '인간 교사'에게 전달한다. 또 학생이 수업을 버거워하거나 학생의 입장에서 '중요한 포인트'를 건너뛰었다고 판단될 경우 AI가 인지해 교사에게 알려준다.
현재 한국 AI교육 기술 중 유사한 것은 '시선 트래킹'이다. 아이가 문제풀이를 할 때 한 문제당 몇초에서 몇분 가량을 머물렀는지 가늠해서 아이가 문제를 풀었는지, 찍었는지 혹은 대충 풀었는지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학생이 설명을 알아듣기 버거워하는지 등을 AI가 포착하는 것은 시선 트래킹보다 앞선 기술력이다.
이를 위해 Third Space Learning은 실제 온라인 수업의 기록을 축적, 약 10만 시간의 수업 내용을 AI에 머신러닝시켜 학습 효과가 높은 성공 패턴과 학습지도 방법을 찾아냈다. 각 학생의 평소 행동패턴에 데이터를 대입해서 AI 교사가 자체적으로 판단하기에 이른 것이다. 민간과 공공의 협업 그리고 AI 교사와 인간 교사의 보완관계를 이뤄낸 셈이다.
미국 역시 민간 기업인 Carnegie learning에서 설계한 AI 수학학습용 소프트웨어를 공교육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Carnegie Learning이 제공하는 AI 교사 MATHia는 학생이 미흡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맞춰서 지도한다. 주목할 부분은 MATHia가 학생의 학습 방법이나 습관에 맞춰서 학습을 보조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학생의 이해 방법에 따라 MATHia는 마치 인간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치듯, 학생별로 필요한 '힌트'를 바꿔서 제공한다.
이렇듯 영국과 미국 등에서는 이미 모든 상황에 AI 교사가 활용됨으로써 학생 각각의 학습이해도에 맞춘 세심한 개별지도가 이뤄지고 있다. 아직은 민간주도로 AI 학습이 이루어지는 한국의 모습과 대조되는 양상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13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0 초등교육박람회 에듀테크쇼에서 어린이들이 학습 교재를 체험하고 있다. 2020.08.13 mironj19@newspim.com |
아직 해외에 비해서 뒤쳐지는 실정이지만 한국 AI교육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할 전망이다. AI교육 필요성을 느낀 교육청에서 AI교육에 나섰고, 국가 차원에서도 AI 산업 자체를 육성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특히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020년을 AI교육 원년으로 삼고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은 지난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대학원에서 AI교육 석사학위를 받은 전문교사 800명을 양성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AI 전문 교사를 1명 이상씩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AI·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활용 티칭이 가능한 AI 시범학교 3곳이 지정돼 현재 운영 중이다. 이뿐만 아니라 시범학교 외에 다른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AI 교육을 체험하고 활동하는 AI 동아리를 개설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업계에선 공교육에서 AI교육을 강조할수록 전체적인 AI 학습 수준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AI는 결국 데이터 싸움이다. 민간에서 축적한 데이터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며 "공교육에서 나서 AI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하면 단기간에 엄청난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데이터가 많이 쌓일수록 AI가 학습 가능한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단순히 '시선 트래킹'뿐 아니라 해외 사례처럼 개인별 학습 방법과 태도 등에 맞춘 '완전 개인화 학습'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며 "나아가 AI 교사와 인간 교사가 함께 협업해서 학생들을 가르친다면 교육의 질은 지금과는 차원이 다르게 좋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jellyfi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