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美 블루칩] 베리사인, 인터넷 도메인 등록 및 보안 분야의 글로벌 리더

기사입력 : 2020년11월12일 01:49

최종수정 : 2020년11월12일 01:49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베리사인(VeriSign Inc., VRSN)은 인터넷 도메인 등록 관리 및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 업체이다.

최상위 도메인인 닷컴(.com), 닷넷(.net), 닷오르그(.org) 도메인 이름 등록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레지스트리로 인터넷 도메인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을 처리하는 13개 인터넷 루트 서버 중 2개를 비롯해 다양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운영한다.

인증 보안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 인터넷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는 '디지털 인증서'를 발행하는 업체로도 이름을 떨친 기업이다.

미국 버지니아주 레스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베리사인은 크게 레지스트리 서비스 부문과 보안 서비스 부문으로 운영된다.

베리사인의 가장 크고 중요한 사업 부문인 레지스트리 서비스는 닷컴(.com)과 닷넷(.net) 등 최상위 도메인을 포함한 인터넷 인프라 및 서비스의 보안, 안정성, 복원력을 보장하며, 인터넷 도메인이름시스템(DNS)의 핵심을 이루는 루트 영역의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 서비스는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s, 분산 서비스 거부) 차단 서비스와 관리형 DNS 서비스로 나뉘는데, DDoS 차단 서비스는 DDoS 공격에 대한 모니터링과 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형 DNS 서비스는 웹 기반 시스템의 가용성을 위해 DNS 확인을 제공하는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베리사인 [사진 = 업체 홈페이지]

 

베리사인은 1995년 컴퓨터 및 네트워크 보안 업체인 RSA데이터시큐리티(RSA Data Security)의 인증 서비스 사업부가 분사해 설립됐다.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제임스 비드조스는 인터넷 및 보안 업계의 선구자로 인정 받고 있으며, 인증 및 암호화를 위한 초기 표준 책임자로서 RSA데이터시큐리티를 ​​구축했다.

베리사인은 1999년 시그니오(Signio)를 8억 달러에, 소트 컨설팅(Thawte Consulting)을 5억7500만 달러에 인수하며 성장하기 시작했다.

2000년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 and Numbers) 및 미국 상무부와 협약을 맺고, 닷컴(.com), 닷넷(.net), 닷오르그(.org) 등 핵심적인 도메인 이름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솔루션즈(Network Solutions)를 210억달러에 인수하면서 인터넷 서비스에서 없어서는 안 될 주요 회사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네트워크솔루션즈 인수합병으로 전자상거래에 참여하는 기업들에게 도메인 등록에서부터 거래 인증과 지급 인증까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2001년 통신업체들간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연결해주는 라우팅업체 일러미넷홀딩스(Illuminet Holdings)를 12억 달러에 인수했다.

2002년 TV 등 영상 전문 도메인인 닷티비(.tv)의 운영권을 4500만달러에 사들이며, 전세계 도메인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한층 확대했다.

같은 해 무선 사업자를 위한 전자지급과 고객관리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H.O.시스템즈(H.O. Systems)를 3억5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2010년 SSL(Secure Sockets Layer), 코드 서명 인증 서비스, 관리 PKI(Managed 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비스, 베리사인 트러스트 서비스, VIP(VeriSign Identity Protection) 인증 서비스, VIP 사기 탐지 서비스를 포함한 인증 사업 부문을 舊시만텍(Symantec)에 매각하고, 이후 인터넷 인프라 및 보안 사업 부문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베리사인은 인증 사업 부문을 매각하기 전까지 군대에서의 금융 서비스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300만 가지 이상의 인증서를 운영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인증기관이기도 했다.

현재 베리사인은 도메인 관리 역량 외에 DDos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탁월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간접 채널을 통해 금융기관과 전자상거래 업체, 미디어 회사 등에 업종별로 최적화된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베리사인 1년 주가 추이 [차트 = 팁랭크스]


1998년 1월 30일 나스닥(NASDAQ)에 상장했고, 미국 3대 지수 중 나스닥100과 S&P500에 속해있다.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베리사인 총 지분의 11.23%를 보유한 대주주인 점도 주목할 만 하다. 

12월인 결산월인 베리사인은 2019 회계연도 기준으로 매출액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12억3000만 달러, 영업이익이 5% 증가한 8억 달러, 순이익이 5.1% 증가한 6억1230만 달러, 희석 EPS가 8.4% 증가한 5.15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11월 10일 현재 베리사인의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71% 내린 199.98달러이고, 시가총액은 232억2000만달러이다.

52주 최고가는 221.30달러이고, 52주 최저가는 148.77달러이다.

최근 5거래일간 4.42% 올랐고, 올해 들어 지금까지 3.79% 상승했다.

투자 전문 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베리사인은 지난 10월 22일 인터넷 도메인 등록이 증가한 데 힘입어 전년 동기에 비해 개선된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 매출은 3억1790만 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3억840만 달러에 비해 늘었으며, 순이익은 1억7100만 달러(주당 1.49달러)로 전년 동기의 1억5390만 달러(주당 1.30달러)에서 증가했다.

 

베리사인의 .com과 .net 도메인 이름 등록건수 [사진 = 업체 홈페이지]


3분기 기준 베리사인이 관리 중인 .com과 .net 도메인 이름 등록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1억6370만개로 집계됐다.

신규 도메인 이름 등록건수는 1090만개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990만개에서 증가했다.

제임스 비드조스 CEO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우리 회사의 대단히 중요한 인터넷 인프라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우리는 전 세계가 온라인으로 확실하고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돕는 임무에 계속 중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발표된 베리사인에 대한 4건의 투자의견을 종합하면 '보유'이다.

투자은행(IB) 2곳이 '보유' 의견을 냈고, '비중확대'와 '비중축소' 의견이 각각 1곳씩이었다.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는 최고 260달러, 최저 235달러, 평균값은 247달러다.

 

(참고 원문: 마켓워치 VeriSign reports higher Q3 profit, sales https://www.marketwatch.com/story/verisign-reports-higher-q3-profit-sales-2020-10-22?mod=mw_quote_news)

 

kimhyun0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