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대에 미생물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포착"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국제 연구진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인 금성에서 외계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했다. 금성을 감싼 구름에서 미생물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포착된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마젤란 우주선과 파이오니어 금성 궤도탐사선이 보내온 금성의 모습. NASA/JPL-Caltech/Handout via REUTERS [사진=로이터 뉴스핌] |
14일(현지시간) CNN,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영국 카디프대학의 제인 그리브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은 이날 네이처 천문학회지(Nature Atronomy)를 통해 공개됐다.
연구진은 지난 2017년 하와이에서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JCMT)과 2019년 칠레에서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로 금성을 관찰해왔다. 그 결과 이들은 "금성 표면 60㎞ 대기 상공에서의 구름에서 포스핀(기체 상태의 인화수소·PH3)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수소화인으로도 불리는 포스핀은 인과 수소의 화합물질로 지구에서는 연구실에서 제작되거나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독성 가스다. 늪, 습지대에서 발견되며 동물의 내장에 있는 물질이다. 생명체가 분해될 때 생성되기도 한다.
이에 금성에 있는 미생물이 이 물질을 생성했을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PH3는 산소와 더불어 과학자들이 생명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다.
연구진은 박테리아 등 미생물이 만들었다는 것 외에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고 말한다. 연구팀은 화산과 번개, 초소형 운석을 통한 전달이나 구름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작용과 같은 것을 잠재적 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여전히 포스핀이 어떻게 생성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는 반응이다.
금성의 구름층은 표면에서 53㎞에서 63㎞ 상공에 떠있는데 지표온도는 482℃에 달한다. 구름 상층일 수록 온도는 더 올라가고, 금성의 구름은 강한 산성을 띈다. 포스핀이 생존하기에 부적합한 환경이다.
이에 공동 저자이자 MIT의 천체물리학자 사라 시거는 CNN에 보낸 이메일에서 "금성의 지면이나 공기 중에서 어떠한 화학적 작용으로 포스핀이 형성됐다는 설명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금성에는 수소가 없다고 봐야 무방한데 포스핀은 인의 자연적 형태가 아니다. 인이 인산염 형태로 존재해야 하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WP에 따르면 논문 공동저자 클라라 소우사실바 매사추세츠공대(MIT) 천체물리학자는 "우리는 금성에 풍부한 포스핀을 찾은 것에 대해 다른 설명을 찾으려 최선의 노력을 했지만 못 찾았다. (미생물이 만들었다는 것 외에) 다른 근접한 이유는 찾지 못 했다"고 말했다.
시거 박사는 금성에서의 포스핀 발견은 "아주 예상치 못한, 매우 흥미로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