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임상 관련 긍정적인 소식과 각종 인수합병(M&A) 소식에 뉴욕 증시가 랠리하면서 달러가 하락했다.
이번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일본중앙은행(BOJ) 통화정책회의와 일본의 차기 총리 임명 등 이벤트가 산적해있다.
14일(현지시간) 6개 바스켓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가 0.29% 하락한 93.07을 나타냈다.
유로/달러 환율은 0.13% 상승한 1.1863달러를 기록했고, 파운드/달러는 1.2844달러로 파운드화가 달러 대비 0.38% 올랐다.
달러/엔은 0.4% 내린 105.74엔으로 엔화가 강세를 나타냈고, 호주 달러는 전장 보합 수준인 0.7287달러에 거래됐다.
![]() |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뉴욕 증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최종 임상 시험 재개와 오라클의 틱톡 인수 추진을 포함한 대규모 M&A 소식에 상승했다.
지난 주말 아스트라제네카와 영국 옥스퍼드대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 시험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피험자에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지난 6일 임상 시험이 중단됐으나 조사를 담당했던 안전 담당 위원회와 보건 당국이 시험 재개를 해도 된다고 결론지었다.
클라리티 FX의 아모 사호타 디렉터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백신 관련 소식이 시장 분위기를 띄웠다"며 "추세적인 움직임을 결정할 만한 새롭고 유의미한 재료는 없었지만 주식이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화가 약했던 날"이라고 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투기세력들의 달러화 순 숏 포지션은 2주 연속 줄어 지난주 326억7000만달러로, 8월 말 9년 최고치였던 336억8000만달러에서 축소됐다.
오는 15~16일(현지시간)에는 연준의 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예정돼있다. 지난달 소개했던 평균물가목표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제로 금리 장기화 관련 연준의 스탠스가 시장의 주요 관심사다.
넷웨스트는 최근 리서치 노트에서 "새로운 점도표는 현재 제로 금리 정책 스탠스가 2023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메시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는 달러화에 부정적이다.
한편 달러는 엔화에 대해 0.4% 하락한 105.70엔으로 2주 최저치로 후퇴했다. 오는 17일 예정된 BOJ의 통화정책회의에서는 특별한 정책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준의 인플레이션 기조를 따를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자민당의 신임 총재로 당선되면서 오는 16일 일본 국회에서 아베 신조 총리의 뒤를 잇는 차기 총리로 선임될 예정이다.
jihyeon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