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뿌리기술 범위 확대개편
고무·플리스틱 등 5개 소재도 추가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뿌리기술의 범위가 기존 금속소재 중심의 6개 공정기술에서 소재 범위는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등 6개로 늘어나고 기술은 14개로 확대된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뿌리기업을 위한 산학협력 연구개발(R&D) 지원에 226억이 투입되고 신성장기반자금 대출 규모가 확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정세균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뿌리4.0 경쟁력강화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는 뿌리산업 개편, 당면애로 단기 대응, 공급망 안정화, 고부가 첨단산업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소부장과 뿌리기술과의 관계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우선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뿌리산업 범위를 전면개편 한다. 개편내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뿌리산업 진흥법'을 올해 안에 전면 개정할 예정이다. 제명을 '뿌리산업 진흥법'에서 '차세대 뿌리산업진흥법'으로 변경하고 뿌리기술 범위를 기존 금속중심의 6개 공정기술에서 소재범위는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탄소, 펄프 5개를 추가하고 기술은 14대로 확대한다.
뿌리산업 확대에 따른 업종별 특화대책 마련해 금속 중심 기존 6개 분야는 스마트화·친환경화 등을 통해 공급망 안정화, 고부가가치화를 집중 지원한다. 사출·프레스, 3D 프린팅, 정밀 가공, 엔지니어링 설계 등 신소재 확장 4개 분야는 부품·제조장비 등 실증지원을 확대하고 재료연구소, 세라믹기술원 등 연구기관간 공동R&D 등 협력을 강화한다. 산업지능형 SW, 센서, 로봇, 산업용 필름 및 지류 등 플랫폼 성격 4가지는 하이테크(High-Tech)형 뿌리기술의 경우 R&D, 인력양성 등에 보다 집중해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뿌리기업의 당면애로 해결을 위한 매출, 자금, 인력 분야 긴급지원책을 마련한다. 올해 226억원을 투입해 뿌리기업의 현장애로 공정기술을 인근 대학 소부장 기술지원단이 해소해주는 산학협력 R&D지원 신설한다.
현재 1000억원인 신성장기반자금 뿌리기업 대출 규모를 확대하고 자동차 상생특별보증 프로그램(4200억원), 철강 상생협력펀드(1000억원) 등 업종별 상생기금중 일부를 활용해 해당분야 뿌리기업을 지원한다. 외국인 인력의 장기체류를 지원하기 위해 비전문비자(E-9)에서 숙련기능인력 비자(E-7-4)로 전환에 필요한 고용추천서 발급요건을 명가 등 우수 뿌리기업 중심 발급에서 영세 뿌리기업 등으로 완화한다.
한·독·일 뿌리산업 부가가치율 및 매출액 추이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뿌리산업의 공급망 안정화 기능강화를 위한 역량강화도 지원한다. 수급 안정화를 위해 밀크런 방식의 공동구매와 물류시스템 도입하고 8월까지 원자재 공동구매 대상품목, 수입국가 등 수요를 사전조사한다. 밀크런 방식은 우유회사가 목장을 순서대로 돌면서 원유를 수집한 데서 유래된 물류형태다.
또한 뿌리산업에 주로 활용되는 산화텅스텐 등 희소금속 비축을 검토하고 뿌리 특화단지 등에 공동물류센터, 원자재 등 공동 비축시설을 구축한다.
이 밖에도 뿌리산업의 고부가가치 첨단산업화를 위해 글로벌 납품가능한 수준의 뿌리기술 확보 R&D에 5년간(2020~2024년) 1248억원을 투입하고 내년에 300억원을 들여 소부장 R&D내 뿌리분야를 신설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뿌리기술의 경쟁력 강화는 결국 우리의 소재·부품·장비 대응역량 확대로 이어져 글로벌 공급망경쟁에서 우위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했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