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포항시가 직원들의 퇴직을 이유로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중단한 지역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인 ㈜영산만산업에 대해 "법적·행정적' 책임을 묻겠다"며 강력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다.
![]() |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열쇠를 회수해 방치하고 있는 모습[사진=포항시] 2020.06.25 nulcheon@newspim.com |
포항시는 25일 "영산만산업이 지난 24일부터 직원들의 퇴직 등을 이유로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중단하고 있다"며 "포항시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처리 비상대책을 수립하는 등 발 빠른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영산만산업 측이 포항시의 조치를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강력 대응 배경을 설명했다.
포항시는 영산만산업 측의 방해 사례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열쇠를 회수해 음식물쓰레기를 수집·운반할 수 없도록 하고 △호동매립장의 출입을 막기 위해 내부 도로를 차단하는 행위를 들었다.
또 시민들의 불편 최소화를 위해 임시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 타 업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고자 했으나 이 마저도 방해를 하면서 오는 30일까지 음식물쓰레기 처리가 불가능하도록 방해를 일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포항시는 "시민을 볼모로 하는 방해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마지막 계약기간까지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영산만산업에 요청했다"며 "만약 음식물쓰레기 처리가 이뤄지지 못하는 사태가 장기화 된다면 법적·행정적인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영산만산업은 지난 2000년부터 포항시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해 온 업체로 지난 2011년 법원의 판단에 따라 이달 30일까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도록 계약되어 있다.
포항시는 현재 운영 중인 호동매립장이 인근 지역의 환경적 피해로 더 이상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없게 되자 지난 2011년 7월에 있었던 판결에서 협의된 사항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해 지난 4월에 공개입찰을 추진, 지난달 청주시 소재 모 기업 외 2개사를 최종 선정한 바 있다.
포항시는 이에 따라 영산만산업의 인력이 안정적으로 고용 승계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 지난 23일 38명이 고용 승계될 수 있도록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또 음식물쓰레기가 외부업체에 위탁됨에 따라 낙찰자가 준비한 적환장 부지가 인근지역의 민원 등으로 설치가 어렵게 되면서 관련 민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철강공단의 부지를 검토하는 한편 수은오염으로 사회문제가 된 구무천 정화사업을 위해 최근 매입한 한일철강 부지(1만1229㎡) 중 일부인 990㎡(300평)에 음식물쓰레기를 옮겨 실을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는 등 음식물쓰레기 대란 사전 예방조치를 취해 왔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