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시장 침체, 가격 하락 압력 가중
'경기부양에 부동산 동원안해' 당국 거듭 강조
양극화 심화, 대도시 집값은 강세유지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 SNS 웨이신(微信, 위챗)에 건강달리기 위런 앱 메시지(위챗 운동)가 있다. 이 메시지를 열면 본인과 지인들의 매일 운동량이 걸음수로 정확히 표시된다. 코로나19 통제가 한창이던 지난 2월과 3월 대부분 중국 친구들의 걸음수는 2000보 안팎이었다.
4월 8일 우한 도시봉쇄가 풀리고 4월 중순 이후 14일 격리가 점차 완화되면서 사람들의 걸음걸이 수가 급격히 늘어났다. 푸궁푸찬(复工复产, 업무 생산재개)과 여행 외출 활동이 재개되면서 사람들이 많이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부동산 중개소 일을 하는 중국인 친구 천(陈) 주임은 올해 1월 설 쇠러 고향 징저우(荆州, 코로나19 발원지 우한시와 같은 후베이성)에 갔다가 두달 동안 집에서 꼼짝없이 같혀 지내야했다. 당시 위런 메시지에 표시된 천 주임의 걸음수는 하루 1000보를 넘는 날이 많지 않았다.
우한시 봉쇄가 해제되던 날 새벽 첫 열차를 타고 베이징에 도착한 뒤 14일 동안의 의무 자가 격리 기간 스마트폰 위언 앱 메시지에 표시된 천 주임의 하루 걸음수는 100보도 안됐다. 격리가 끝난 뒤 4월 말 부터 천주임의 위런 메시지 걸음수는 갑자기 하루 2만~3만 보로 늘어났다. 정확히 아파트 폐쇄식 관리가 완화돼 외부인의 단지출입이 허용된 때에 맞춰 걸음수가 수직 증가한 것이다.
고객들을 데리고 집을 보여주기 위해 그만큼 많이 걷고 움직였다는 얘기다. 하지만 천 주임의 걸음수가 곧바로 중국 부동산 경기회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천 주임은 지난 5월 초에 만났을 때 "작년만 해도 10~20 집을 보여주면 보통 한 건 정도는 계약이 됐어요. 지금은 20~30집을 보여줘도 계약 성사가 안되는 경우가 허다해요"라고 말했다.
중국 부동산 경기는 일부 일선 도시와 최고 요지 주택 외에는 차갑게 식어 있다. 현재 코로나19 발생지 후베이성을 비롯, 산둥(山东)성 장시(江西)성 등 인구 유출이 많은 지역 집 값은 계속 떨어지는 중이다. 대도시 아파트 한 채 가격이 우리 돈 15억~20억원 정도인데 비해 이들 도시에는 2000만 원 이하의 집도 많다.
부동산 경기가 안좋다는 사실은 지방 정부와 건설사들의 부동산 시장 부양책을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장시성은 부동산 거래를 촉진하려고 성 정부와 부동산 개발 기업 공동으로 "홍(红) 5월" 캠페인을 벌였다. 산둥성 수도 지난(济南)시 부동산 기업들은 집을 사면 10년 관리비를 보조하겠다는 광고 전단을 뿌렸다.
심지어 베이징에서도 '30만위안(5000만원) 할인' '1만원 계약금으로 입주한뒤 두달 후 무조건 환불' '고객 추천 계약시 무조건 1만 위안 소개료 지급' 과 같은 조건의 아파트 판촉행사가 열렸다.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좀처럼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 침체속에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일선 도시 일부 지역 집값만 강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4월 말 베이징의 부동산 중개 체인 '워아이워자' 점으로 손님이 들어가고 있다. 2020.05.11 chk@newspim.com |
코로나19의 터널을 나온 2020년 5월 현재 중국 대부분 도시 아파트 시장은 구매자 보다는 매도하려는 사람이 많다. 코로나19로 시장 심리가 위축되면서 내집마련 수요가 약해지고 있다. "구매자는 마음이 느긋해요. 팔려는 사람들의 마음만 급해진 거지요". 천 주임은 이렇게 설명하면서 "당분간 중국의 아파트 가격이 오르기 힘들것 같다"고 말했다.
중국은 인구만 많은게 아니라 집도 많다. 어떤 면에서는 집이 남아 돌아서 걱정인 나라다. 통계에 따르면 도시의 아파트(주택) 공실률은 22%에 달한다. 아파트 5채 중 한채는 빈집이라는 얘기다. 중국 도시가구 주택 소유 현황을 보면 10가구 중 6가구가 내 집을 보유하고 있다.
두 채 이상과 세 채 이상 소유 가구도 각각 31%, 10.5%에 달한다. 중국은 도시화율이 60%인 상황에서 도시의 주택(아파트) 잔량이 3억 5000채에 달한다. 대략 가구당 1. 2채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평균 거주 면적은 40 평방미터로 미국(67 평방미터)에 비해 작지만 주택 수에서는 대부분 선진국을 넘어서는 구조다. 집이 남아도는 현상, 즉 공실률은 호황때는 별 문제가 아니지만 불황시에는 상황이 다르다. 코로나19 이후 주택 대출 상환 부실률이 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엄청난 통화 부양이 없을 경우 중국의 향후 집값은 계속 하락 압력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은행은 10일 '팡주부차오(房住不吵, 집은 투기 수단 아니다)'의 입장을 다시 강조하면서 "부동산을 단기 경기 부양 수단으로 삼지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알리바바 창립자 마윈은 정부의 주택 안정 정책에 호응해 '미래 집값이 양파 가격 처럼 싸질 것'이라는 표현으로 집갑 하락을 점쳤다. 마윈의 집값 하락 예측은 공급이 넘치기 때문이라는 게 주된 근거다.
하지만 이는 나라 전체의 부동산 시장을 놓고 하는 얘기이고 다른 한편에서 보면 일선 대도시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가격 상승 압력이 강한 편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중국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대도시 집값이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베이징과 상하이의 요지를 포함해 인구 유입이 많은 장삼각 지역과 웨강아오 인근 도시 요지의 아파트 수요는 여전히 막강하고 가격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중국 경제일보에 따르면 학군이 좋은 베이징의 일부 주거지는 5.1 노동절 연휴에도 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오후 베이징 현지 한국계 은행 책임자는 "1선 도시(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특히 교통과 학군이 뛰어난 지역 아파트는 희소성 때문에 가격이 계속 오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책임자는 "코로나19의 와중에도 선전시 신용 대출 은행 창구에 주택 구매자들이 장사진을 이룬 것이 이런 전망을 뒷바침한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